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모빌리티인문학의 적용과 모델링
가격
18,000
10 16,200
YES포인트?
9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서론: 모빌리티인문학의 적용과 모델링 │이진형 |

1부 대안 공동체

기후위기 시대 상호물질성의 정치 │김태희│
상호주관성
상호문화성
상호물질성
인간- 비인간의 정치

동물의 모빌리티:반려동물의 대중교통 이용 향상을 위한 법 · 정책적 고찰 │임보미 |
반려동물의 모빌리티
외국의 반려동물 관련 법제와 대중교통 이용 현황
반려동물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제안-결론에 갈음하여

2부 공간과 미디어

사고- 되기와 결함- 되기의 정치│이용균 · 길광수│
들어가며
항공모빌리티와 항공사고- 되기
저먼윙스 사고의 발생과 조사
사고- 되기와 결함- 되기의 구성
항공사고의 탈- 정치화와 재- 정치화
나가며

렘 콜하스의 ‘살아 있는’ 플랫폼, 〈보르도 하우스〉, 포스트휴먼 신체 │이재은 |
콜하스의 〈보르도 하우스〉와 르무완느 신체의 모빌리티
아키그램과 사이보그 건축
아키그램과 콜하스의 만남
〈보르도 하우스〉의 구조
‘살아 있는’ 플랫폼의 아이디어
건축과 인간의 만남, 사이보그, 포스트휴먼 신체

텔레비전 미디어의 보급과 생활세계: 오오카 쇼헤이 《구름의 초상》을 중심으로 │우연희 신인섭 |
인프라와 텔레비전
일본에서의 텔레비전 등장과 보급
일본 전후 부흥의 상징, 텔레비전
텔레비전 전파 송출의 다층적 의미
텔레비전의 보급과 생활세계

3부 트랜스내셔널 스토리월드

여행·교통·젠더의 모빌리티를 반영한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정은혜 |
나혜석의 여행기를 모빌리티로 간주하다
‘여행과 교통’, 그리고 ‘젠더적 관점’에서 바라본 모빌리티 이론
나혜석의 생애를 통해 살펴본 구미여행기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
여행·교통·젠더 모빌리티를 반영한 나혜석의 구미여행기 해석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

의학교육의 이동과 변용: 근대 일본 의사 집단의 식민지 진출과 한국 의학교육│서기재 |
들어가며
일본의 제국대학 출신 의사들과 식민지 관립병원 구축
일제 강점 초기 동인회의 역할과 의학교육의 개시
사토 고조를 중심으로 본 한국 근대 의학교육
나오며

사이버 공간과 DNA 기술의 활용: 한국계 해외입양인들의 초국적 이주와 친가족 찾기│배진숙│
한국 해외입양의 역사
DNA 기술의 발전
입양인의 한국과 미국에서의 차별 경험
기술의 발전과 친가족 찾기에 대한 희망
과거 친가족 찾기 방식의 대안
마음의 평화, 그리고 진실
모든 경우가 해피 엔딩은 아니지만
친모의 비밀과 죄책감
나가며

저자 소개11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후과정을 연수했다. 저서로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혼종성 이후』,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등이 있고, 역서로 『각색 이론의 모든 것』, 『모빌리티와 인문학』, 『혼종성 비판』, 『바흐친의 산문학』 등이 있다.

이진형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본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인공지능의 몸: 현상학적 고찰」, 「지각의 비대칭성: 인지과학과 선행적재 현상학에 의거하여」, 「동물의 인격: 시간성에 기초한 후설의 동물존재론 해석」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공저),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 『사물과 공간』,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본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인공지능의 몸: 현상학적 고찰」, 「지각의 비대칭성: 인지과학과 선행적재 현상학에 의거하여」, 「동물의 인격: 시간성에 기초한 후설의 동물존재론 해석」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공저),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 『사물과 공간』,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공역), 『소외와 가속』 등이 있다

김태희의 다른 상품

현재 건국대학교 HK연구교수. 주요 논저: 법정구속의 문제점과 개선책(2020, 법학연구), 일본 재판원제도와 항소심(2019, 형사정책), 형사소송법상 상소제도의 변천과정과 그 의미(2018, 법학연구), ?시민참여형 형사재판의 항소심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2017, 비교형사법연구).

임보미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에서 ‘생산자 서비스와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산업입지’, ‘지역지리’, ‘인구지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이주(인구), 모빌리티mobility, 포스트개발post-development 등을 주제로 공간과 사회 변화를 탐구하고 있다. 저서로 『인구와 사회』, 『글로벌 이주』,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공저)이 있고, 옮긴 책으로 『도시사회지리학의 이해』(공역), 『이주』(공역), 『공간을 위하여』(공역), 『국가·경계·질서』(공역)가 있다.

이용균 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지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항공모빌리티, 지역지리, 현대사회의 여행 등의 주제에 관심이 많으며, 공항의 장소성과 공간성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미술이론과 겸임교원이다. 성신여자대학교에서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에서 학술연구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에서 HK연구교수로 일했다. 가천대·경희대·성신여대·전남대 및 여러 대학과 sadi에 출강했다. 포스트휴먼 미술에 관심을 갖고 최근 몇 년간 테크노퓨처리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모빌리티인문학의 적용과 모델링』(2024), 『분열된 신체와 텍스트』(2017)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Island and Mobility in the Face of Climate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미술이론과 겸임교원이다. 성신여자대학교에서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에서 학술연구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에서 HK연구교수로 일했다. 가천대·경희대·성신여대·전남대 및 여러 대학과 sadi에 출강했다. 포스트휴먼 미술에 관심을 갖고 최근 몇 년간 테크노퓨처리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모빌리티인문학의 적용과 모델링』(2024), 『분열된 신체와 텍스트』(2017)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Island and Mobility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Robert Smithson’s Floating Island”(2024), “포스트휴먼시대 한국현대미술과 로봇”(2023),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노진아의 <제페토의 꿈>을 중심으로”(2021), “포스트휴먼의 꿈, 최우람의 ‘기계 생명체’를 중심으로”(2021) 외 다수가 있다.

이재은의 다른 상품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일본문화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근대문학과 일본의 ‘전후’ 문제를 비롯한 일본 현대사상을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모빌리티의 텍스트 재현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논문으로 <원전 사고 이후 담론과 ‘전후’ 문학의 비교 고찰>,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등이 있으며, 저서로 《분단 극복을 위한 집단지성의 힘》(공저), 옮긴 책으로 《‘조선’표상의 문화지》(공역), 《황후의 초상》(공역)이 있다.

우연희의 다른 상품

1962년 출생.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졸업 후, 일본 홋카이도대학교에서 일본 근대문학을 전공했으며 「아리시마 다케오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최근 연구로 「The Multicultural Space of South Korea」, 「Ethics of Father and Son in Ri’s 流城へ and Kaneshiro’s GO」, 「A Narrative of Those on the Move : The Case of Takeo Arishima」 등의 논문을 집필했다. 주요 저
1962년 출생.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졸업 후, 일본 홋카이도대학교에서 일본 근대문학을 전공했으며 「아리시마 다케오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최근 연구로 「The Multicultural Space of South Korea」, 「Ethics of Father and Son in Ri’s 流城へ and Kaneshiro’s GO」, 「A Narrative of Those on the Move : The Case of Takeo Arishima」 등의 논문을 집필했다. 주요 저서로 『디아스포라 지형학』(공저), 『일본 근현대문학의 명암』이 있으며, 『산소리』, 『이즈의 무희?천 마리 학?호수』, 『소설론』 등을 번역했다.

신인섭의 다른 상품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the landscape of the Korean DMZ and its spatial significance(2021),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2022) 외 다수

정은혜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일본 나고야대 일본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 형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여행·아동·의학 분야의 인물과 시대상을 탐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시카타 신과 전쟁아동문학』, 『근대 관광잡지에 부유하는 조선』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매매춘과 일본문학』, 『암야행로』 등이 있다.

서기재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에서 학사학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에서 석사학위, 그리고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American Studies)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재외한인학회의 연구·편집이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원어 및 우리말 강의를 했다. 저서로 『디아스포라와 이동성(공저)』(2021), 『세계 한인 정치·경제사(공저)』(2021),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공저)』(2022), 논문으로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에서 학사학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에서 석사학위, 그리고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American Studies)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재외한인학회의 연구·편집이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원어 및 우리말 강의를 했다. 저서로 『디아스포라와 이동성(공저)』(2021), 『세계 한인 정치·경제사(공저)』(2021),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공저)』(2022), 논문으로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2019), 「재한 중남미동포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2018) 등이 있다.

배진숙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2월 29일
쪽수, 무게, 크기
330쪽 | 148*215*30mm
ISBN13
9791192647319

책 속으로

‘다문화 현상’으로부터 ‘다문화주의’를 개념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문화 현상이 삶의 양식으로서의 문화가 서로 다른 복수 집단이 동일 시공간에 공존하는 현상을 지칭하는 기술적記述的 개념이라면, 다문화주의는 다문화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하나의 규범적 개념이다. 따라서 고도 모빌리티로 야기된 ‘다문화 현상’에서의 타문화 혐오를 성찰하기 위해서 규범적 차원의 ‘다문화주의’가 논의되어 왔다.
--- p.51

반려동물과의 공생이 일상화된 현 상황에서도 반려동물을 동반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비율이 현저하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은 그 안에 이러한 모빌리티 차별 기제가 작동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은 공공서비스의 영역으로서 대중교통의 이용 가능성은 사회보장적 제도의 수혜 여부와 직결되는 문제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 p.76

항공사고는 여러 국가의 지정학적 관계를 수반하고, 복잡한 사고 조사와 수습의 정치를 요구한다. 이 글은 조종사의 고의 추락(자살)으로 추정되는 독일 저먼윙스 9525편을 사례로, 어떻게 이 사고가 조종사의 과실에 의한 비정상적이고 일탈적 행동으로 규정되고, 환자의 진료 기록이 어떻게 결함된 신체로 구성되는지에 주목한다.
--- p.119

‘포스트휴먼’ 또는 ‘포스트휴먼적’이라는 단어는 20세기 말부터 등장하기 시작해 일반적으로 두 관점으로 정의된다. 하나는 닉 보스트롬Nick Bostrom과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 한스 모라벡Hans Moravec 등과 같은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이 말하는 과학과 정보의 융합을 통해 각종 질병에 구애받지 않으며 삶의 장소도 실재 공간과 디지털 공간 사이 횡단이 가능한 인류다. 다른 하나는 사이버페미니즘 중심으로.
--- p.164

인문학적으로 텔레비전을 연구하는 경우 텔레비전의 콘텐츠가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그리고 그 이야기들을 생산 · 소비하는 사회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다루어 왔다. 사회과학적 접근 방법에서는 미디어 효과에 관한 주제나 수용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고, 문화 연구자들은 국가 · 계급 · 젠더 · 청년 · 인종 등과 미디어의 연관성을 분석해 왔다. 텔레비전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이 글에서 다루려고 하는 비가시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로서 텔레비전과 전파를 다룬 문학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 p.190

나혜석은 한국 여성 최초로 세계일주 여행을 떠난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이자 근대 작가, 여성운동가로서 다방면에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그와 관련된 연구들은 파격적인 신여성, 근대적 지식인, 남성중심적 시대의 희생자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나혜석의 파격적인 삶에 기반한 자유연애사상 및 페미니스트 담론에 주로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자유인으로서의 나혜석과 그의 연인이었던 최린에 관한 스캔들 연구는 이를 뒷받침한다.
--- p.212

처음 개항장을 중심으로 거주했던 일본인들이 점차 한국 내륙으로 진입하고, 청일전쟁 이후 잠시 주춤했던 이민이 1900년부터 1905년 사이에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소위 ‘한국 이민 붐’이 일어나자16 의료시설은 더욱더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의료사업 분야에서도 한국은 기회의 땅이 되었고, 이를 선점한 단체가 엘리트 의사들로 구성된 동인회同仁會였다.
--- p.269

DNA 검사는 자신의 아이덴티티와 병력에 대해 알고 새로운 친족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입양인들의 바람을 해결할 수 있다. 유사한 사례로, 보조생식기술補助生殖技術를 통해 임신되어 출생한 개인은 DNA 검사 기술을 사용해서 동일한 기증자의 다른 자식을 찾기도 한다. 이들은 같은 혈통을 공유하는 사람들과 유사가족 모임을 갖고, 형제자매 등록에 참여하고, 한 명의 기증자로 출생한 자손들로 이루어진 공동체를 조직하기도 한다.

--- p.307

출판사 리뷰

인간과 동물, 인간과 미디어, 인간과 기계 ···

‘대안 공통체’, ‘공간과 미디어’, ‘트랜스내셔널 스토리월드’의 3부로 구성된 이 책은 8개 모빌리티 연구의 인문학적 전환 사례를 보여 준다. 1부 ‘대안 공동체’에서는 고-모빌리티 시대 대안적 공동체를 구상하기 위한 철학적 사유, 그리고 이동권에 기반한 인간과 동물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법 · 정책적 제안을 시도한다. 2부 ‘공간과 미디어’에서는 2015년 ‘저먼윙스 9525편’ 항공사고를 대상으로 항공사고가 어떻게 미디어의 정치에 의해서 구성되는지 살펴보고, 렘콜하스의 건축물 ‘보르도 하우스’를 대상으로 인간과 기계 또는 타자의 이동적 관계 맺기가 어떻게 실현 가능한지 탐구하며, 일본 소설가 오오카 쇼헤이의 작품 《구름의 초상》을 토대로 1950~70년대 일본 사회가 어떻게 모빌리티 인프라(텔레비전)를 매개로 구성되는지 논의한다. 3부 ‘트랜스내셔널 스토리월드’에서는 나혜석의 여행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근대 초기 글로벌 젠더 산책자 또는 젠더 모빌리티의 실천을 탐색하고, 일제강점기 일본 의사 집단의 한반도 이주 및 의학교육을 사례로 의료의 초국적 이동 현상을 고찰하는 한편, 최근 모빌리티 기술의 발달과 그를 활용한 친가족 찾기 현상을 분석한다.

잠재적 형태로 존재하는 수많은 이동적 관계와 모빌리티 정의

물론 모빌리티인문학의 역사가 짧은 만큼 그와 같은 연구 목적이 현재 양과 질 측면에서 충분히 성취되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그래서 모빌리티인문학은 텍스트를 매개로 모빌리티와 관련한 문화적 · 정치적 · 윤리적 · 정신적 · 감성적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잠재적 형태로 존재하는 수많은 이동적 관계들에 대한 발굴 및 개방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미충족 상태는 가늠할 수 없는 모빌리티인문학의 연구 잠재력에 대한 표시일 수 있다. 새 모빌리티 패러다임이 ‘사회 세계’를 “다양한 사람, 관념, 정보, 사물의 이동을 포함하고 유발하고 감소시키는 경제적 · 사회적 · 정치적 실천, 인프라, 이데올로기의 거대한 집합”으로서 이론화하려는 시도라면, 모빌리티인문학은 텍스트를 매개로 그러한 이동을 둘러싼 관계들에 대한 문화적 · 정치적 · 윤리적 · 정신적 · 감성적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오직 잠재적 형태로만 존재하는 수많은 모빌리티들을 발굴해서 가시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특정 분과학문이나 연구 방법론에 특권을 부여하지 않는 모빌리티인문학은 궁극적으로 ‘모빌리티 정의’의 관점에서 미래 모빌리티 사회의 재구성에 기여하려는 목표가 있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6,200
1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