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17,000
10 15,300
YES포인트?
8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머리말: 문화의 이동과 이동하는 권리_이진형

1부 모빌리티와 시민의 권리

그리스 아테네에서 거류외인과 시민 간의 사회적 교류_ 문혜경
기회의 땅 아테네
거류외인의 용어
시민 자격
거류외인의 신분 형성
새로운 시민
거류외인의 법률적 지위 확립
거류외인의 데모스 등록, 법적 보호인
거류외인의 제 권리와 의무
거류외인의 결혼과 사적 소송
사회적 네트워크: 공존과 순응
사회적 통합

한나 아렌트 정치사상과 오늘의 글로벌 폴리틱스: 인권, 유목적 폴리스, 그리고 수행성의 정치_서유경
〈세계인권선언〉의 ‘보편적’ 인권과 시민권
아렌트의 “권리들을 가질 권리”로서 인권
유목적 폴리스, 정치적 평등, 그리고 인권
결론: 지구화 시대의 인권 정치학

기억의 초국적 이동과 다방향적 접합: 홍콩 시민들의 투쟁이 부른 민주화 운동의 기억들_ 이해수
2019년 홍콩 시위와 기억의 정치
기억 연구의 이론적 전환: 집단기억에서 다방향 기억으로
분석 방법과 분석 대상
‘천안문 사건’ 30주기, 기억을 지우려 하는 자와 지키려는 자의 투쟁
“우리가 돌아왔다”, 홍콩으로 소환된 ‘우산혁명’의 흔적들
홍콩 시위에서 울려 펴진 한국의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
기억의 다방향적 접합과 홍콩 시위

2부 탈식민 시기, 이동하는 문화

복수複數의 경계를 넘어: 북한 민족음악의 남한 이동_ 김희선
복수複數의 경계를 넘은 북한음악
북한음악 이동의 정치·문화예술사적 맥락
북한음악 남한 이동의 경로와 과정
남한 수용의 문화번역
횡단하고 교차하는 초국적 수행의 산물

이중의 디아스포라Double Diaspora와 다중적 정체성: 자리나 빔지와 에밀리 자시르를 중심으로_ 주하영
당신은 어디에서 왔는가
디아스포라 미학과 정체성
이중의 디아스포라의 경험과 예술적 실천
자리나 빔지: 디아스포라의 상실과 치유의 딜레마
에밀리 자시르: 디아스포라적 열망과 불가능에의 도전
나오는 글

3부 이동적 공간의 문화적 생산

‘전후’ 일본의 상징 공간, ‘교외’: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교외의 변화를 중심으로 _ 우연희
근대기술의 장소적 생산물, ‘교외’
전쟁의 흔적이 침입하는 공간: 《무사시노부인》
전후 일본의 ‘동경’의 공간: 《머나먼 단지》
빛바랜 ‘이상’으로서의 공간: 《정년 고질라》
‘전후’ 일본의 상징으로서의 ‘교외’

버내큘러적 공공디자인의 혼종성_ 이종세
버내큘러와 혼종성
버내큘러적 공공디자인
버내큘러적 디자인의 실천적 사례
혼종성의 현대미학적 범주
마치며

장례식장의 지리학: 모빌리티와 수행의 만남_ 오정준
장례식장과 모빌리티
장례식장과 수행
나가며

저자 소개9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후과정을 연수했다. 저서로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혼종성 이후』,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등이 있고, 역서로 『각색 이론의 모든 것』, 『모빌리티와 인문학』, 『혼종성 비판』, 『바흐친의 산문학』 등이 있다.

이진형의 다른 상품

제주대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경희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2》(공저), 《서양문화사 강의》(공저), 《인물로 보는 서양고대사》(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고전기 아테네인의 성규범과 태도>, <고전기 아테네에서 매춘과 사회적 통제>,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평화의 의미: 니키아스의 평화협정과 리더십>, <The Politics of Expulsion in the Classical Athens: Ostracism and Democracy>, <도시 디오니시아 축제와 아테네 민주정치>, <고전기 아테네에서 데마고고스의 등장과 대중의 지배>
제주대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경희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2》(공저), 《서양문화사 강의》(공저), 《인물로 보는 서양고대사》(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고전기 아테네인의 성규범과 태도>, <고전기 아테네에서 매춘과 사회적 통제>,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평화의 의미: 니키아스의 평화협정과 리더십>, , <도시 디오니시아 축제와 아테네 민주정치>, <고전기 아테네에서 데마고고스의 등장과 대중의 지배> 등이 있다.
경희사이버대학교 후마니타스학부 인문·고전전공 교수이며 현재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난 20여 년간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연구에 집중해온 골수 ‘아렌티안Arendtian’으로서 『아렌트와 하이데거』, 『과거와 미래 사이』, 『아렌트 읽기』, 『사랑 개념과 성 아우구스티누스』 등을 우리말로 옮겼고, 「아렌트 ‘정치 행위’ 개념 분석」과 「한나 아렌트의 정치사상에 비춰 본 1987년 이후 한국의 참여민주주의」를 비롯하여 다수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그 밖에도 『시민 사회』, 『이사야 벌린의 지적 유산』, 『시민정치론』 등의 번역서가 있으며, 2016년 제24
경희사이버대학교 후마니타스학부 인문·고전전공 교수이며 현재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난 20여 년간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연구에 집중해온 골수 ‘아렌티안Arendtian’으로서 『아렌트와 하이데거』, 『과거와 미래 사이』, 『아렌트 읽기』, 『사랑 개념과 성 아우구스티누스』 등을 우리말로 옮겼고, 「아렌트 ‘정치 행위’ 개념 분석」과 「한나 아렌트의 정치사상에 비춰 본 1987년 이후 한국의 참여민주주의」를 비롯하여 다수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그 밖에도 『시민 사회』, 『이사야 벌린의 지적 유산』, 『시민정치론』 등의 번역서가 있으며, 2016년 제24차 세계정치학회IPSA에 발표한 논문 “The Political Aesthetics”는 2017년 독일에서 영문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서유경의 다른 상품

고려대학교 BK21 미디어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원으로 지냈다.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 편집위원이기도 하다. 미디어와 공간, 몸, 기억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해오고 있다.

Kim, Hee-sun

국민대학교 교수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국제전통음악무용학회 동아시아음악연구회장 역임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 역임

김희선의 다른 상품

전남대학교 미술학과 미술이론전공 조교수. 영국 리즈대학교에서 문화예술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유러스 컬렉션》(공저), 《중국의 부채: 우리가 알지 못했던 이야기》가 있고, 논문으로 <존 아콤프라의 영국 흑인영화에 표상된 인종주의와 정체성의 정치학>, <카데르 아티아의 작품에 표상된 부조리에 대한 후기식민주의적 재맥락화>, <카라 워커의 작품에 표상된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정치학과 대항 기념물> 등이 있다.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일본문화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근대문학과 일본의 ‘전후’ 문제를 비롯한 일본 현대사상을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모빌리티의 텍스트 재현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논문으로 <원전 사고 이후 담론과 ‘전후’ 문학의 비교 고찰>,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등이 있으며, 저서로 《분단 극복을 위한 집단지성의 힘》(공저), 옮긴 책으로 《‘조선’표상의 문화지》(공역), 《황후의 초상》(공역)이 있다.

우연희의 다른 상품

건양대학교 의료공간디자인학과 교수. 한국공간디자인 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홍익대학교 조소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런던예술대학교 첼시컬리지에서 환경디자인 전공 석사를 취득하였다. 홍익대학교에서 <초감각적 몸과 ‘촉지觸知적 공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2010)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작품집으로 《yi jong-se, naomi, 100 DESIGNERS》(공역)가 있고, 다수의 국제전에 참여했다.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동국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리교육 및 관광지리에 관심을 두면서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재현과 수행으로서의 관광객 사진>, <관광객-모빌리티 기계의 기동 관람 시각>, <관광과 일상의 결합에 관한 소고> 등이 있다.

오정준 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2월 28일
쪽수, 무게, 크기
320쪽 | 530g | 148*215*30mm
ISBN13
9791190901826

책 속으로

아테네인들이 타자로 여긴 비시민들이 어떻게 그들과 함께 거주하고 그 체제를 받아들였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아테네 폴리스Polis와 그 구성원들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나아가 거류외인에 대한 이해는 고전기 아테네에서 타자로 살았던 주변인들의 삶의 양상을 파악하는 이주민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p.33

아렌트는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polis를 현재 우리의 현실에서도 재현 가능한 이상적 정치공동체 모델로 인식했고, 그것을 모종의 ‘언어적 행위 공동체’로서 이론화하였다. 그래서 이 ‘아렌트적’ 폴리스라는 언어공동체는 말과 행위를 수행하는 행위자가 이동함에 따라 생성되고 그가 떠나면 함께 사라지는 ‘유목적’ 성격을 띤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관점을 수용한다면, ‘국민국가nation-state가 곧 정치공동체’라는 우리의 고정관념은 재고될 필요성이 있다.
--- p.66

시간과 공간을 달리하는 민주화운동의 기억들이 2019년 홍콩의 시위 현장으로 소환되고 수렴되는 현상에 주목하여 새로운 기억정치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억 연구의 이론적 지형을 살펴보고, 서로 다른 기억들이 만나 상호 참조되는 양상에 주목한 논의들을 조명한다. 동시에 이 글은 초국가적 기억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장field으로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주목한다.
--- p.104

북한음악의 남한 이동이 가능했던 아시아 내 정치·문화예술사적 부침의 맥락과 이를 배경으로 한 다층적인 초국적 문화 흐름, 디아스포라 이주 예술가와 남한 예술가 등 다층적 매개자들의 개입, 악기·악곡·연주자의 유입 등 북한음악 이동의 구체적 양상, 복수複數의 경계를 넘어온 북한음악의 남한음악계 수용에 수반된 재맥락화의 문화 번역 과정과 정치학을 논의하려 한다.
--- p.152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팽창, 그리고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강요된 이주를 거듭해야 했던 두 아시아계 디아스포라 여성 예술가인 자리나 빔지Zarina Bhimji(1963~ )와 에밀리 자시르Emily Jacir(1972~ )의 삶과 작품을 다룬다. 자신이 속해 있던 공동체에 머물지 못하고 폭력적으로 이산을 경험해야만 했던 여성 예술가들이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이를 작품으로 표출하는지에 대하여 후기식민주의와 포스트페미니즘적 관점으로 논하고자 한다.
--- p.205

‘교외’는 일본 전후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가 반영된 만들어진 공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전후 일본의 교외는 철도를 따라 발달하고 확장하였으며, 교외의 공간 변화는 경제성 장 및 물리적·가상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비롯한 여러 사회적 요인이 작용하여 이루어졌다. 이 관점에 기반하여 이 글에서는 교외의 초기 형성기와 팽창기·쇠락기를 배경으로 하는 일본의 전후 문학 작품을 통해 일본 전후에서 ‘교외’라는 공간이 갖는 상징성을 규명하려고 한다.
--- p.244

해석의 방법은 버내큘러적 디자인의 기초자료 분석과 문헌 연구를 통해 시대적 해석과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버내큘러적 디자인의 새로운 위상을 인식하고, 탈식민주의 문화사적 근거를 중심으로 미술사의 사유적 관점에서 혼종성의 가치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어서 버내큘러적 디자인의 실천적 사례를 중심으로 위상학적 추론과 인식론적 해석을 통하여 동시대적 문화의 다양성과 가치적 관점에서 혼종성을 유형화한다.
--- p.270

만약 해변에서 위령제가 행해지면, 그곳에서는 애도의 담론으로 매개된 인간-사물 하이브리드의 실천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해변은 ‘추모의 장소’가 될 것이다. 물론 여름의 체화된 실천이 사물과 결합되고 가족 시선family gaze으로 매개된다면 ‘진정한 해수욕장’이 될 것이다. 따라서 관광객 장소는 관광객이라는 배우가 무대에 오르기 전까지 ‘죽어’ 있고, 무대에서 그들의 체화된 실연이 펼쳐지는 순간 ‘생명’을 얻게 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장소는 선험적 꼬리표가 아닌 정체성의 창조적 생산을 위한 원료인 셈이다.

--- p.300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5,300
1 15,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