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
가격
18,000
10 16,200
YES포인트?
9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모빌리티인문학 총서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책소개

목차

머리말_ 모빌리티 에토스와 공통문화의 구상 _ 이진형

1부 모빌리티 : 자유, 권리, 장치

사회발전을 위한 모빌리티와 커먼즈의 가치 탐색: 모바일 커먼즈로의 결합을 강조하여 _ 이용균
사회발전의 이해
모빌리티와 사회발전
커먼즈와 사회발전
모바일 커먼즈와 사회발전
모바일 커먼즈를 위하여

현행법상 장애(인) 개념에 근거한 장애인 이동권의 문제 _임보미
장애(인) 개념의 세계적 추이와 현행법상 정의
현행 장애(인) 개념에 기초한 장애인 이동 정책과 사법심사의 한계
사회보장적 성격의 강화와 장애인 이동권에 관한 사법심사의 한계

재개발 모빌리티 장치와 광주대단지 사건, 그리고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_ 최영석
모빌리티와 군중
재개발 모빌리티 장치
장치로서의 집과 구두
버스의 모빌리티와 임모빌리티
대문의 안과 바깥

2부 모바일 공동체와 모빌리티 윤리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장소윤리 _김태희
장소와 인간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장소감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장소윤리
지구적 장소감과 지구적 장소윤리
고도 모빌리티 시대, 취약성의 장소윤리

모빌리티와 문학윤리비평의 관점에서 본 ‘명소’: 《동해도 오십삼차東海道五十三次》의 명소를 중심으로 _이현영 ·우연희
명소에 작용하는 세 가지 엔진
모빌리티 관점에서의 명소
문학윤리학 측면에서의 명소
명소 뒤의 메커니즘
《동해도 오십삼차》의 명소

택시 서사의 윤리적 구조: 양석일梁石日의 《택시광조곡タクシ-狂躁曲》을 중심으로 _양명심
택시 드라이버, 양석일
택시, 택시 운전사, 승객의 관계를 통해서 본 택시 서사
이념의 소거, 자이니치 서사의 윤리적 구조
백미러를 통해 바라보는 일본사회, 그리고 윤리적 가치

3부 역사적 (임)모빌리티의 문화와 정치

일제강점기 한센 정책과 미디어의 대중 관리 전략 _서기재
미쓰다 겐스케의 한센 사업과 한센인
한센인을 바라보는 ‘눈’의 형성과 변용
근대 의학 문화의 전시장 소록도갱생원

블라디보스토크의 경관을 통한 문화·역사 투어리즘: 신한촌과 아르바트거리를 중심으로 _정은혜
러시아 극동 지역의 떠오르는 중심지, 블라디보스토크 경관 연구의 흐름
문화·역사 투어리즘
블라디보스토크 개관
개척리와 신한촌의 문화·역사 투어리즘
아르바트거리의 문화·역사 투어리즘
문화·역사 투어리즘 장소로서 블라디보스토크의 잠재력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 필라델피아와 로스앤젤레스 한인들의 3?1운동 인식과 100주년 기념사업 _배진숙
미국에서의 독립운동
미국에서의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행사 장소: 기억 공간, 코리아타운, 한인교회
문화적 방법론
재미 한인들의 3·1운동 인식과 100주년 기념행사의 의미
미주 한인들의 독립운동 관련 역사 연구 활성화를 바라며

저자 소개11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후과정을 연수했다. 저서로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혼종성 이후』,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 등이 있고, 역서로 『각색 이론의 모든 것』, 『모빌리티와 인문학』, 『혼종성 비판』, 『바흐친의 산문학』 등이 있다.

이진형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에서 ‘생산자 서비스와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산업입지’, ‘지역지리’, ‘인구지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이주(인구), 모빌리티mobility, 포스트개발post-development 등을 주제로 공간과 사회 변화를 탐구하고 있다. 저서로 『인구와 사회』, 『글로벌 이주』,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공저)이 있고, 옮긴 책으로 『도시사회지리학의 이해』(공역), 『이주』(공역), 『공간을 위하여』(공역), 『국가·경계·질서』(공역)가 있다.

이용균 의 다른 상품

현재 건국대학교 HK연구교수. 주요 논저: 법정구속의 문제점과 개선책(2020, 법학연구), 일본 재판원제도와 항소심(2019, 형사정책), 형사소송법상 상소제도의 변천과정과 그 의미(2018, 법학연구), ?시민참여형 형사재판의 항소심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2017, 비교형사법연구).

임보미의 다른 상품

연세대학교에서 현대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옮긴 책으로 『디아스포라 이즈』, 『페미니즘 위대한 역사』(공역), 『권력정치문화』, 『모리스 블랑쇼 침묵에 다가가기』, 『다름과 만나기』, 『도시를 다시 생각한다』, 『모빌리티 정의』, 『틈새시간』, 『온더 무브』, 『안토니오 그람시 비범한 헤게모니』 등이 있다.

최영석의 다른 상품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건국대 일본문화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근대문학과 일본의 ‘전후’ 문제를 비롯한 일본 현대사상을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모빌리티의 텍스트 재현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논문으로 <원전 사고 이후 담론과 ‘전후’ 문학의 비교 고찰>, <오오카 쇼헤이의 ‘전후’ 인식> 등이 있으며, 저서로 《분단 극복을 위한 집단지성의 힘》(공저), 옮긴 책으로 《‘조선’표상의 문화지》(공역), 《황후의 초상》(공역)이 있다.

우연희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 고베대학 인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디아스포라 서사와 강요된 모빌리티의 재현-이회성의 《유역》을 중심으로〉, 〈일본명 조선인 작가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모빌리티 재현〉 등이 있고, 저서로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와 텍스트 미학》(공저),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2》(공저) 등이 있다.

양명심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일본 나고야대 일본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 형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여행·아동·의학 분야의 인물과 시대상을 탐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시카타 신과 전쟁아동문학』, 『근대 관광잡지에 부유하는 조선』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매매춘과 일본문학』, 『암야행로』 등이 있다.

서기재의 다른 상품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에서 학사학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에서 석사학위, 그리고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American Studies)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재외한인학회의 연구·편집이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원어 및 우리말 강의를 했다. 저서로 『디아스포라와 이동성(공저)』(2021), 『세계 한인 정치·경제사(공저)』(2021),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공저)』(2022), 논문으로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에서 학사학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에서 석사학위, 그리고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American Studies)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재외한인학회의 연구·편집이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원어 및 우리말 강의를 했다. 저서로 『디아스포라와 이동성(공저)』(2021), 『세계 한인 정치·경제사(공저)』(2021), 『모바일 공동체: 권리 정동 윤리(공저)』(2022), 논문으로 「초국적 역사문화의 계승과 확산: 재미한인들의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2019), 「재한 중남미동포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2018) 등이 있다.

배진숙의 다른 상품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조교수,
한국도시지리학회 이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이사
전, 한국사진지리학회 이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객원교수,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조교수,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역임
저서_ 『지리학자의 국토읽기(2018)』, 『지리학자의 공간읽기(2018)』, 『답사 소확행(2019)』, 『지리를 알면 보이는 것들(2023)』 외 다수
논문_ 식민권력이 반영된 경관의 보존가치에 대한 연구: 일제하 형성된 전남 소록도와 인천 삼릉마을을 사례로(2016), A theoretical study on the landscape of the Korean DMZ and its spatial significance(2021),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2022) 외 다수

정은혜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본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인공지능의 몸: 현상학적 고찰」, 「지각의 비대칭성: 인지과학과 선행적재 현상학에 의거하여」, 「동물의 인격: 시간성에 기초한 후설의 동물존재론 해석」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공저),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 『사물과 공간』,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본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인공지능의 몸: 현상학적 고찰」, 「지각의 비대칭성: 인지과학과 선행적재 현상학에 의거하여」, 「동물의 인격: 시간성에 기초한 후설의 동물존재론 해석」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모빌리티 사유의 전개』(공저),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 『사물과 공간』,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에드문트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공역), 『소외와 가속』 등이 있다

김태희의 다른 상품

李炫瑛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석사 과정을 수료한 후,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에서 일본 근세 문학을 전공으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3년 9월부터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근세 문학 중에서도 마쓰오 바쇼의 하이카이 문학과 근세 시대 명소기에 관해서다. 대표 저서로는 ≪가가하이단과 쇼후의 연구≫(가쓰라서방, 2002), ≪일본 시가 문학사≫(공저, 태학사, 2004), ≪국제 세시기의 비교 연구≫(공저, 가사마서원, 2012) 등이 있으며,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석사 과정을 수료한 후,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에서 일본 근세 문학을 전공으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3년 9월부터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된 연구 분야는 근세 문학 중에서도 마쓰오 바쇼의 하이카이 문학과 근세 시대 명소기에 관해서다. 대표 저서로는 ≪가가하이단과 쇼후의 연구≫(가쓰라서방, 2002), ≪일본 시가 문학사≫(공저, 태학사, 2004), ≪국제 세시기의 비교 연구≫(공저, 가사마서원, 2012) 등이 있으며, 역서로 ≪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후습유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금엽와카집 / 사화와카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9)이 있고 일본 근세 하이카이와 명소기에 관한 논문 등이 있다. ≪천재와카집≫에서 83∼166번 노래를 옮겼다.

이현영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2월 28일
쪽수, 무게, 크기
354쪽 | 490g | 148*215*18mm
ISBN13
9791192647104

책 속으로

커먼즈는 단순히 자원과 정보의 공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공유가 실천되는 가치와 제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커먼즈는 토지를 포함한 자연, 문화와 언어, 그리고 생산과 소비 활동의 부산물, 교육 효과 등을 망라하여 사회 구성원이 사용에 대한 평등한 권리를 갖게 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공유는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자연의 혜택이었고, 노동의 산물임과 동시에 미래의 생산수단이었다.
--- p.36

「장애인차별금지법」은 복지서비스의 수요 대상자를 선정할 필요가 있는 「장애인복지법」과는 달리, 평등의 권리에 근거하여 차별이라는 물리적 장벽과 제약을 제거하는 데 그 입법 취지가 있고, 제정 당시부터 장애인 단체가 적극 참여하여 입법을 추진하고 구체적인 입안 작업에 관여함으로써, 그동안 시혜적 차원에 머물렀던 장애 복지를 인권의 차원으로 변화시켰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 p.99

성남이라는 장소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광주대단지 사건을 모빌리티 장치라는 틀로 분석하여 모빌리티와 불균등한 권력관계의 상호 연관성을 탐사해 보는 것이다. 의미의 중심을 장소에 한정 지을 때, 우리는 사건의 핵심을 지나치기 쉽다. 모빌리티는 어떤 의미에서 장소 못지않은 또 다른 존재의 기반이다. 장소만이 아니라 이동도 의미를 생산하고 그 의미는 재현에 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재현은 또다시 의미의 해석에 영향을 준다.
--- p.124

그러나 서구에서 윤리ethics라는 말의 어원인 에토스ethos는 원래 ‘거주하는 장소’를 뜻하고, 나아가 어떤 특수한 민족이나 사회가 공유하는 관습을 의미했다. 윤리는 어떤 공동의 장소에서 공유하는 어떤 것이다. 다시 말해, 공동체에서 윤리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함께 엮임bonding together이 필요하고 어떤 의례를 실행할 특정 장소가 필요한 것이다.
--- p.172

명소 생태계에서 미디어는 인간과 공간 사이의 네트워킹 시스템 이상의 역할을 하며, 인간과 자연 사이의 윤리적 질서를 정의하는 문학적 도구 역할을 한다. 인류는 인간 사회에서 자기 이익에 가장 적합한 윤리적 질서를 대중화하기 위해 미디어를 다양화해 왔다.
--- p.199

1970년대 들어 이--- p.푸 투안Yi--- p.Fu Tuan을 중심으로 인본주의 지리학이 대두되면서, 경관은 물리적이고 객관적인 실재가 아니라 주체적이고 주관적인 존재로서 인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그 의미가 변화되었다. 즉, 경관은 인간 앞에 놓여 있는 단순한 물질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지각·동기·경험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인간의 주체성이 강조되었다.

--- p.285

출판사 리뷰

21세기 새로운 국지주의

존 어리는 21세기 사회를 특징짓기 위해 “소사이어티society” 대신 “소시에이션sociation” 개념을 전제한다. 소시에이션이란, 사람 · 사물 · 정보의 매우 불균질적이며 파편화된 이동들이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횡단하며 끊임없이 (재)결합하는 시대의 사회성이다. 따라서 모빌리티 에토스에 대한 성찰은 근대 모빌리티 테크놀로지에 기반하여 특정 지역 및 집단을 횡단하며 전개되는 다양한 이동들, 이를 통해 형성되는 사람들의 불안정하고 유동적인 (재)결합 · (재)만남 · 네트워크, 그리고 여기서 작동하는 관습 · 문화 · 윤리 등을 모두 포함한다. 고-모빌리티 시대 개인들은 공동체의 에토스(관습)를 통해 ‘공통의 감성’을 공유함으로써 집단적 삶(‘부족’)에 참여한다. 근접성(뒤섞임)과 영토의 공유를 통해서 ‘함께-하기’에 대한 욕망을 실질화했던 전통적 ‘공동체’와 달리, 지역과 장소를 횡단하며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일시적으로 ‘공통의 에토스’에 참여함으로써 ‘우정의 관계망’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 이 책의 논의 방향이다. ‘새로운 국지주의’의 흐름 앞에서 과연 ‘공통의 감성’과 ‘우정의 관계망’을 활성화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한 일일까?

‘우정의 관계망’의 복원을 위해

이 책의 1부 ‘모빌리티: 자유, 권리, 정치’에는 모빌리티 에토스를 자유, 권리, 정치의 측면에서 논의하는 세 편의 글이 실려 있다. 그 각각은 사회발전의 관점에 입각해서 모빌리티와 커먼즈the commons의 가치를 탐색하고, 장애인 이동권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장애인 개념의 비판적 재구성을 시도한다. 그리고 모빌리티 장치의 개념을 활용해서 모빌리티와 불균등한 권력관계의 상호연관성을 탐색한다.

2부 ‘모바일 공동체와 모빌리티 윤리’는 모빌리티 에토스를 공간과 관련해서 다루는 세 편의 글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는 고-모빌리티 시대 장소윤리, 일본 에도 시대 ‘명소’ 형성에서 작동하는 모빌리티 윤리, 자이니치在日를 중심으로 택시 공간에서 조성되는 윤리적 관계 등을 다룬다. 전혀 이질적인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세 편의 글은 유동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일시적이면서도 불안정한 관계, 말하자면 모바일 공동체의 생성을 윤리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3부 ‘역사적 (임)모빌리티의 문화와 정치’에는 일제강점기 한센 정책, 블라디보스토크 경관, 필라델피아와 로스엔젤레스 한인들의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등을 다루는 세 편의 글이 실려 있다. 그 각각은 식민지의학이 미디어를 매개로 ‘국민’(일본인과 조선인)을 포섭해 가는 양상,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과 아르바트거리가 문화·역사 투어리즘 장소로서 갖는 잠재력, 다민족 사회의 소수민족이 모국의 역사 기념일을 기념하는 방식이 갖는 의미 등을 다룬다. 세 편의 글은 소수 집단과 그 문화가 폭력과 억압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초국적·초지역적 이동을 통해서 문화적 상호작용에 참여하기도 하는 공통문화 형성 또는 구상의 복합적 양상을 잘 보여 준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채널예스 기사1

  • [책읽아웃] What's in my cart? 책 장바구니 특집!
    [책읽아웃] What's in my cart? 책 장바구니 특집!
    2023.07.13.
    기사 이동
16,200
1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