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1년 05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72쪽 | 446g | 135*205*19mm |
ISBN13 | 9791191071573 |
ISBN10 | 119107157X |
발행일 | 2021년 05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72쪽 | 446g | 135*205*19mm |
ISBN13 | 9791191071573 |
ISBN10 | 119107157X |
MD 한마디
[행복의 정점에서 삶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뿌리 깊은 나무』 이정명 장편소설. 화가로서의 성공과 완벽한 동반자인 아내, 흠잡을 데 없어 보이는 주인공의 삶은 그의 생일날 아침 아내가 사라지면서, 숨겨진 과거 사건이 다시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세 남녀의 운명이 뒤엉킨 그 여름, 봉인되었던 진실은 무엇일까. -소설MD 박형욱
1장 지수 · 7 2장 한조 · 123 3장 해리 · 227 4장 수인 · 323 |
거짓말은 새로운 거짓말을 낳는다. 사람들은 거짓말을 끝까지 감출 수 있다고 여긴다. 누군가를 통해서 혹은 자신의 입으로 말하게 되는데, 언젠가 진실은 드러나게 마련이다. 만약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면 현재의 그들은 전혀 다른 삶을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복수 하겠다고 계획했던 사람도 상대방을 순수하게 사랑했을지도 모른다.
삶에서 가장 완벽한 순간, 홍콩 옥션에서 그림이 팔렸고 성공한 화가 이한조라는 이름을 각인시킨 중요한 순간이었다. 그런 시점에 아내가 사라졌다. 한조는 아내가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그의 모든 것을 아내가 결정했고 지금의 그로 이끌었다. 아내의 작업실에 소설로 보이는 글이 적힌 봉투만 있을 뿐이었다. 그 소설에서 화가는 열여덟 살의 소녀를 만나 예술가로서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아내의 시점에서 쓰인 내용이었다. 누가 봐도 한조를 가리키는 내용이었다. 소설이 발간되면 그의 삶은 낱낱이 파헤쳐질 것이었다.
한조는 열여덟 살의 여름의 기억을 떠올렸다. 하워드 주택에 새로 들어온 모두 흰 옷을 차려입은 가족. 하워드 주택과 맬컴 주택은 굉장히 사이좋은 이웃으로 보였지만, 보이지 않은 경계선이 그어진 상태였다. 열여덟 살의 지수는 하워드 주택을 주로 그렸던 한조의 모델이 되어 주었고 여름날 변사체로 발견되었다. 면식범 소행일 경우 주변의 남자들이 용의 선상에 오르게 되는데, 학교의 관리인으로 일하는 맬컴 주택의 이진만과 그의 아들들 수인과 한조가 그 대상이었다.
수인은 한조에게 지수가 사라진 날 하워드 주택의 지하 화실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었던 것을 누가 아느냐고 물었고, 그가 위험해질 것을 우려해 함께 수학 공부를 하였다고 말하라고 했다. 한조는 형을 의심했다. 수인을 좋아했던 지수와 다투지 않았을까 하는 의구심이었다. 형이 살인자일 가능성 때문에 한조는 입을 다물었다.
한조의 시선에서 사건을 바라보게 되므로 아마 많은 사람들이 수인을 의심했을지도 모르겠다. 나 또한 작가가 의도하는 대로 수인이 의심스러웠다. 한조는 자꾸 되묻는다. 그때 거짓말을 하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형은 무엇을 감추기 위해 거짓말을 하게 했던가. 아버지는 두 아들 때문에 스스로 살인자가 되었다. 그렇다고 수인과 한조의 아버지가 전혀 아니라고 말할 근거 또한 부족했다. 한조 또한 의심의 대상에서 완벽하게 빠져나올 수 없다.
결국 그는 그녀의 무엇도 이해하지 못했다. 타인의 기억을 이기는 사람은 없다. 아무도 없다. 그것은 진실을 이기는 사람이 없다는 말과 같다. (186페이지)
그러고 보면 사람의 기억이란 충분히 왜곡될 수 있으며 또 얼마나 연약한 것인가. 지수가 사라지던 날 태리가 보았던 그 장면은 이언 매큐언의 소설과 원작 영화 <어톤먼트>를 떠올리게 한다. 왜곡된 기억으로 전쟁터에 나가야 했으며 두 사람은 오래도록 떨어져 지내야 했다. 『부서진 여름』 또한 자기가 보았던 장면과 그 사건을 지켜본 수사관의 몇 마디의 말로 진실이 왜곡되었다. 사랑하면서도 복수를 위해 자기의 모든 것을 던졌다. 얼마나 어리석은지 모르겠다.
그러면 사건의 진실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지수는 누가 죽였을까. 지수의 마지막을 지켜본 사람은 누구였을까. 충격적인 장면을 보고 스스로 죽기로 결심했던 것일까, 아니면 누군가에 의해 죽임을 당한 것일까. 끝내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다. 어쩌면, 어쩌면 전혀 의외의 인물이 살인자일 수도 있었다. 진실이 묻히고 말았다는 게 몹시 안타까웠다. 결국, 누가 지수를 죽였는지는 중요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거짓말로 인하여 진실이 묻히고 그것이 어떤 형태의 결과를 나타내는지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부서진여름 #이정명 #은행나무 #은행나무출판사 #책 #책추천 #책리뷰 #도서리뷰 #소설 #소설추천 #한국소설 #한국문학 #은행나무서포터즈
아내가 사라졌다. 그림을 그릴 줄만 알뿐 그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한조. 그런 그의 곁을 그녀가 떠나버렸다. 행복했던 어제는 벌써 온데 간데 없었다. 평온할 것만 같은 하루가 단지 그녀만 없을뿐인데 불행으로 바뀌어 버렸다. 아무리 찾아도 찾아지지 않는 그녀. 아예 작심한 듯이 모든 것을 다 완벽한 상태로 정리해 놓고 사라진 그녀. 이 성공의 피크에서 대체 그녀는 어디로 가버린 것인가.
한조는 숨을 깊이 들이쉬었다. 운명에 선전포고할 때였다. 그는 이제 혼자가 아니었다. 그에게는 아내가 있었다. 그들은 서로의 과거를 어루만지며 삶을 쌓아갈 것이다. 그리고 그는 그릴 것이다.
206p
이야기는 지금 현재 화가 한조의 모습을 그려 놓은 후 오래전 이야기로 떠나간다. 한조가 어린 무렵이다. 그와 그들의 가족이 살던 맬컴 주택. 아버지는 하워드 주택을 관리하고 학교를 관리했다. 하워드 주택에 새로운 가족이 들어왔다. 그것이 지수네 가족이었다. 지수와 한조의 형은 같은 나이였다. 또래 아이들이 있는 만큼 잘 어울렸다. 그런 날이 영원할 줄로만 알았지만 사건은 벌어지고 말았다. 지수가 사라진 것이다. 그녀는 대체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유괴를 당했다면 연락이라도 와야 할 터인데 그런 연락도 없었다. 그녀가 마지막으로 보였던 곳에서 경찰들은 아이를 찾으러 수색을 하지만 당최 어디로 숨어버렸는지 아이는 보이지 않는다. 지수는 어디로 갔을까.
오래전부터 시작된 이야기는 그곳에서부터 차분히 현재를 향하여 또박또박 걸어온다. 왜 지금의 사건이 일어났는지 알려면 그때 당시부터 알아야 한다는 듯이 정해진 박자대로 굳건히 걷는다. 그 과정에서 나는 이해하게 된다. 지금의 이 사람이 누구라는 것을 말이다. 어린 시절의 그들이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살아왔는지는 말이다. 그래서 지금 그녀의 사라짐이 이해가 된다.그녀가 오랜 시간을 두고 생각하고 계획하고 꿈꿔오고 이루려고 했던 복수가 무엇인지를 말이다. 어떻게 보면 자신의 인생 자체를 바꾸어 놓게 된 인물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 당연하리라는 것을 말이다.
내가 그를 사랑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더 사랑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나는 그를 떠나기로 마음먹었다.
319p
하지만 그녀의 복수는 정당했을까. 자신으로 인해서 그의 삶도 어느 정도는 망가지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그는 그 댓가를 치룬 것이 아니었을까. 그에게 합당한 처벌은 이미 내려진 것이 아니었을까. 그의 인생 전부를 통해서 말이다. 이정명 작가의 이름은 익히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의 작품을 제대로 읽은 적은 없었다. 이름에 끌려저 제목에 끌려서 읽어버린 부서진 여름. 그의 작품이 왜 인기가 있는지 충분히 알고도 남음이 있다. 그렇다면 이제 그의 다른 작품들을 찾아서 읽어야 할 타이밍이다.
글을 다 읽고는 나비효과라는 말이 떠올랐다.
그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거짓말이 극한의 상황으로 치닫게 했을 뿐 아니라 두 가정이나 파괴했다. 그런데 딱 하나의 거짓말이 아닌 여러 거짓말들이 만들어 낸 상황이었는지 모르겠다.
지수, 한조, 해리, 수인의 입장에서 바라 본 그날의 진실과 그 이후의 삶이 마지막에 한자리에서 만난다.
이야기는 하워드 주택과 맬컴주택에서 부터 시작한다.
선교사들이 살던 곳이고 그들이 돌아가고 빈집이있다가 희재라는 사업가가 집을 구매해서 들어오게된다. 정치적인 입지를 굳히고 전략적인 방안으로 가족들의 희생도 감안하면서 하워드 주택에 들어오게 된다.
이사오고 지수와 해리는 맬컴 가족의 관리인의 아들인 수인과 지수와 자연스럽게 어울리게 된다.
큰 아들 수인은 그 지역내에서 수재였고 한조는 미술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불행은 늘 엇갈린 사랑에서 시작되는 법 하워드 주택의 큰딸 지수를 한조가 사랑하게 되고 지수는 한조가 아닌 형인 수인을 사랑하게 된다. 수인의 화살표가 어디로 향하는냐가 관건이었는데 정말 엉뚱한 곳으로 향하고 있었다. 그로 인해 모든 사건의 발단이 된 것 같다.
어느날 지수는 사라졌고 그 밤 모두는 거짓말을 했다.
각자 다른 이유로 인해서 그들은 자구책으로 거짓을 말했다.
그렇게 몇 일이 지나고 댐하류에서 지수의 시체가 발견되고 살인이냐? 자살이냐?로 불이 붙기 시작했다. 문제는 지수의 몸에서 다른 체액이 소량 발견된 것이다.
범인은 수인과 한조의 아버지인 맬컴아저씨로 몰렸고 자백을 받아내고 속전속결로 형을 살게 된다. 그들은 살인자의 아들이 되었고 석연치 않은 상황이지만 그렇게 사건은 잠기는 것 같았다.
한조는 미술대학을 가고 그림을 그렸으나 갈피를 못잡고 있다.
하워드 주택으로 가고 잠시 관리사로 일하게 되면서 묘령의 여인과 만나 사랑하게 되지만 그녀는 사라지고 만다. 다시만난 그녀는 쿤스트라는 미술잡지 기자였고 그를 당당하고 유명한 화가로 만들었다. 그렇게 결혼하고 행복한 나날들이 이어지는 그 순간, 또 다른 내리막길이 펼쳐진다. 끝도 없는 절망의 나락과 그 밑에 깔린 그 날의 진실!
정말 예측할 수 없었다
수인이 좋아하는 사람이 누굴지는? 예상도 못했다.
스토리 진행방식은 맘에 들었는데 끝부분이 살짝 개연성이 없어보이고 인물들이 겉도는 느낌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