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세설 (상)
양장
원제
細雪
베스트
소설/시/희곡 top20 1주
가격
13,800
10 12,420
YES포인트?
69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이 상품의 시리즈 3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뷰타입 변경

열린책들 세계문학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이 상품의 태그

이 상품의 특별 구성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카드뉴스8
카드뉴스9
카드뉴스10
카드뉴스11

책소개

목차

제1부
제2부

저자 소개2

다니자키 준이치로

관심작가 알림신청

Junichiro Tanizaki,たにざき じゅんいちろう,谷崎 潤一郞

일본의 근·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 188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메이지 말기부터 쇼와 중기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며 다방면에 걸쳐 문학적 역량을 과시한 작가로, 노벨 문학상 후보에 수차례 지명되는 등 일본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탐미주의적 색채를 드러내며 여성에 대한 에로티시즘, 마조히즘 등을 극도의 아름다운 문체로 탐구하였다. 한평생 작풍이나 제재, 문장, 표현 등을 실험하며 다채로운 변화를 추구하였고, 오늘날 미스터리, 서스펜스의 선구가 되는 작품이나 활극적 역사 소설, 구전, 설화 문학에 바탕을 둔 환상 소설, 그로테스크한 블랙 유머, 고전 문
일본의 근·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 188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메이지 말기부터 쇼와 중기까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며 다방면에 걸쳐 문학적 역량을 과시한 작가로, 노벨 문학상 후보에 수차례 지명되는 등 일본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탐미주의적 색채를 드러내며 여성에 대한 에로티시즘, 마조히즘 등을 극도의 아름다운 문체로 탐구하였다. 한평생 작풍이나 제재, 문장, 표현 등을 실험하며 다채로운 변화를 추구하였고, 오늘날 미스터리, 서스펜스의 선구가 되는 작품이나 활극적 역사 소설, 구전, 설화 문학에 바탕을 둔 환상 소설, 그로테스크한 블랙 유머, 고전 문학 연구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제일 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제국 대학 국문과에 입학했지만 학비를 마련하지 못해 퇴학을 당했다. 1910년 [신사조(新思潮)]를 재창간하여 「문신」, 「기린」 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문단에 등장했고, 소설가 나가이 가후로부터 격찬을 받으며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1915년 열 살 어린 이시카와 치요코와 결혼을 했는데, 시인인 친구 사토 하루오가 그의 부인과 사랑에 빠지자 아내를 양도하겠다는 합의문을 써 [아사히신문]에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문화 예술 운동에도 관심을 가진 그는 시나리오를 써 영화화하고 희곡 『오쿠니와 고헤이』를 발표한 뒤 직접 연출하기도 했다. 또한 1924년 『치인의 사랑』을 신문에 연재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나 검열로 중단되었다.

1942년에 그는 세 번째 부인이자 희구하던 여성인 마쓰코와 그 자매들을 모델로 『세설』을 쓰기 시작했다. 1943년 [중앙공론] 신년호와 4월호와 7월호에 연재되었던 『세설』은 7월호에도 실릴 예정이었으나 「시국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발표가 금지되었다가 전후에야 비로소 작품 전체가 발표되었고, 훗날 마이니치 출판문화상과 아사히 문화상을 받았다. 1949년에는 제8회 문화 훈장을 받았고 1941년 일본 예술원 회원, 1964년 일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미국 문학예술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에 뽑히기도 했다. 1958년 펄 벅에 의해 노벨 문학상 후보로 추천된 이래 매년 후보에 올랐으며 1965년에 80세의 나이로 신부전과 심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주요작품으로는 『문신』, 『후미코의 발(富美子の足)』, 『치인의 사랑(痴人の愛)』, 『춘금초(春琴抄)』, 『미친 노인의 일기(?癲老人日記)』 등이 있으며, 무라사키 시키부의 『겐지 이야기』를 현대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사후 50년을 맞이한 2016년 저작권이 소멸되어 다수의 소설작품이 번역되었으나, 국내에는 다니자키의 극작가(희곡가)로서의 역량이 알려지지 않아 30여 편의 희곡 대부분이 미(未)번역 상태이다. 『문장의 희곡: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레제드라마』는 소설가로 데뷔하기 이전에 이미 희곡을 발표한 다니자키의 극작가로서의 숨겨진 일면을 소개하고, 1910~40년대 일본의 신극운동을 계기로 근대 초기 한일 양국의 소설가들의 희곡 창작과 레제드라마의 유행을 고찰한 연구의 성과물로 기획되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다른 상품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쿄외국어대학 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강의하며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마쓰이에 마사시의 《우리는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미야모토 데루의 《환상의 빛》, 《금수》, 시오노 나나미의 《십자군 이야기》를 비롯해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도련님》,《마음》 등 나쓰메 소세키 전집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지은 책으로 《르네상스인 김승옥》(공저)이 있다.

송태욱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09년 11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389쪽 | 440g | 128*188*30mm
ISBN13
9788932909677

출판사 리뷰

일본 근대 문학을 대표하는 거장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대표작으로, 일본 간사이 지방을 배경으로 기울어 가는 한 명문가 네 자매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셋째 유키코가 혼처를 찾으면서 벌어지는 일들이 이야기의 줄기를 이루지만, 다양한 인물에 대한 세심한 묘사, 계절의 변화와 사시사철의 풍속들이 유려하게 펼쳐지며 이야기에 풍요로움을 더한다. 소설은 근대 소설에서 잘 다뤄지지 않던 여성 문화를 중심으로 끌고 와 다니자키 준이치로 특유의 여성에 대한 숭배 의식과 수려한 문체로 그려 낸다. 일본의 전통 문화, 특히 간사이 문화에 대한 애정으로 써 내려간 이 작품은 탐미주의와 에로티즘에 국한되지 않는 그가 일구어 낸 폭 넓은 문학 세계를 여실히 증명하는 역작이다.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이 작품으로 아사히 문화상, 마이니치 출판문화상을 받고, 이듬해 정부로부터 문화 훈장을 수여받으면서 국민적인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일본 근대 문학의 대표 작가 다니자키 준이치로
그의 천재가 유감없이 드러나는 풍요로운 이야기의 세계


가와바타 야스나리, 미시마 유키오, 무라카미 하루키 등이 그 천재를 극찬하고, 좀 더 살았더라면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리라고 평가받는 작가 다니자키 준이치로. 전범이 될 만한 빼어난 필치가 백미를 이루는 그의 작품 세계는 독보적인 탐미주의와 파격적인 에로티즘뿐 아니라 전통 문화에 대한 조예 등 다양한 면모가 담겨 있어 명실공히 일본 근대 문학을 대표하는 거장으로 꼽힌다. 『세설』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다니자키 준이치로가 당대 일본 사회의 풍경을 특유의 수려하고 정교한 문체로 세심하게 그려 낸 역작이다. 그가 일구어 낸 풍성한 문학 세계를 여실히 증명하는 이 작품은 간사이 문화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여성들의 문화를 촘촘하게 써 내려가며 그들의 이야기를 풍요롭게 들려준다.

유려하고 섬세한 문장들로 그려 보이는
여성들의 삶과 결


『세설』은 오사카, 교토 등을 아우르는 간사이 지방을 배경으로, 기울어 가는 한 명문가 네 딸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야기는 혼기를 놓친 셋째 유키코가 혼처를 찾으며 벌어지는 일들이 중심을 이루지만 소설은 등장인물들의 면면과, 계절의 변화에 따라 흘러가는 그들 삶의 정경을 어떤 사건보다도 흥미롭게 펼쳐 보인다. 작가는 잔잔하고 섬세한 필치로 서로 다른 네 자매가 이루는 대비, 그리고 그들 사이에 흐르는 미묘한 감정들과 끈끈한 유대를 그려 낸다. 이렇듯 네 자매를 비롯한 다양한 여성들의 사고방식, 화법, 일상, 암묵적인 규율 등을 세세하게 묘사함으로써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잘 다뤄지지 않던 여성 문화를 소설의 중심으로 끌고 와 새롭게 조명한다.
작품에는 제2차 세계 대전과 같은 당시의 복잡한 정세도 얼핏얼핏 나타나지만, 그보다는 계절의 변화, 간사이 지방 특유의 문화나 정취 등이 사람들 이야기 못지않게 소설의 한 축을 이루며 유려하게 펼쳐진다. 속절없이 흘러가는 아름다운 자연과 그에 따른 사시사철의 풍속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포착한 이 정교한 풍속화는 일본 전통 문화에 대한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각별한 애정을 드러낸다.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이 작품으로 아사히 문화상, 마이니치 출판문화상을 받고, 이듬해 정부로부터 문화 훈장을 수여받으면서 국민적인 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리뷰/한줄평36

리뷰

8.4 리뷰 총점

한줄평

9.2 한줄평 총점

채널예스 기사1

  • [세설] 일본 근대 문학의 거장 다니자키 준이치로가 그려 낸 당대 일본 사회
    [세설] 일본 근대 문학의 거장 다니자키 준이치로가 그려 낸 당대 일본 사회
    2022.02.14.
    기사 이동
선택한 상품
12,420
1 12,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