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 나의 젊은 시절 이야기
2. 대리석 공장 3. 라틴어 학교 학생 4. 시인 5. 회오리바람 6. 청춘은 아름다워 7. 유럽인 8. 클라인과 바그너 9. 유왕(幽王) 주 해설: 반항아와 시인, 광인과 도인 사이에서 판본 소개 헤르만 헤세 연보 |
Hermann Hesse
헤르만 헤세의 다른 상품
홍성광의 다른 상품
그녀는 조용히 다시 안으로 들어가 문을 닫았다. 문 위의 17이라는 숫자를 카를은 멍하니 골백번이고 되뇌어 보았다. 그는 흥분된 마음으로 이 무시무시한 건물을 나왔다. 얼마 전까지의 즐거운 기분은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 하지만 그가 지금 느끼고 있는 것은 더 이상 그전에 겪었던 사랑의 아픔 같은 것이 아니었다. 그는 그런 고통을 여전히 느끼고 있었지만, 그것은 좀 더 넓고 좀 더 큰 느낌과 체험에 둘러싸이고 에워싸여 있었다. 조금 전에 목격하고 깜짝 놀란 구체적인 불행에 비하면 자신이 겪은 커다란 체념의 고통 따위는 사소하고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보였다. 또한 자신의 사소한 운명은 특별한 것이 아니고, 예외라고 할 만큼 잔혹한 것도 아니며, 얼핏 행복해 보이는 사람들 위에도 어쩔 수 없이 운명이 지배하고 있다는 것도 갑자기 깨닫게 되었다. --- p.123~124 「라틴어 학교 학생」 중에서
당시 내게 중요한 일은 헬레네 쿠르츠와 그녀에 대한 나의 경탄인 것 같았다. 하지만 그것도 다른 모든 일처럼 잠시 내 마음을 움직이다가 다시 어느 순간 사라져 버렸다. 변함없이 지속되는 것은 다만 즐겁게 숨 쉬는 나의 생활 감정뿐이었다. 그것은 매끄러운 수면 위를 유유자적하게 목표도 없이 힘들이지 않고 걱정 없이 헤엄쳐 가는 사람의 감정이었다. 숲에서는 어치새가 지저귀고 월귤나무가 익어 가고 있었으며, 정원에서는 장미와 니겔라가 불타는 듯 피어 있었다. 그 꽃들을 바라보니 세상이 화려하단 생각이 들었다. 내가 언젠가 나이가 들고 어엿한 성인이 되어 분별력 있는 사람이 되더라도 그것은 그대로일 거라 생각하니 기분이 이상해졌다. --- p.193~194 「청춘은 아름다워」 중에서 불안하지 않은 삶이라니 이 얼마나 놀라운 생각인가! 불안을 극복한다는 그것이야말로 지복(至福)이며 구원이었다. 반평생 동안 얼마나 불안에 시달렸던가.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운 지금 이 순간 그는 아무런 불안이나 두려움을 느끼지 못했으며, 다만 미소나 구원, 양해만 느꼈을 뿐이었다. 불안의 정체가 무엇인지 이제 갑자기 알게 되었다. 그리고 불안이 무엇인지 깨달은 사람만이 그것을 극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사람들은 고통이나 심판관들이나 자신의 마음과 같은 오만 가지의 일에 대해 불안해하고, 수면, 깨어남, 혼자 있음, 추위, 광기, 죽음에 대해 불안해한다. 다시 말해, 죽음에 대해 불안해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가면과 변장에 지나지 않는다. 사람들이 정말 불안해하는 딱 한 가지가 있었다. 미지의 세계로 한 발자국 몸을 던지는 것 말이다. 한 발자국 내디딤으로써 모든 안전은 포기되고 만다. 그리고 언젠가 딱 한 번 몸을 내버린 자, 언젠가 커다란 신념을 품고 자신의 운명에 몸을 맡긴 자는 해방되었다. 그는 더 이상 지상의 법을 따르지 않았다. 그는 우주 공간에 떨어져 별들의 윤무에 공명했다. 일이 그러했다. 그렇게 간단했다. 어린아이라도 그것을 이해하고 알 수 있었다. --- p.342~343 「클라인과 바그너」 중에서 |
「청춘은 아름다워」
오랫동안 객지를 전전하며 힘겹게 살아오던 나는 이제 의젓한 신사가 되어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다. 가족과 반갑게 해후한 날 저녁, 여동생의 친구인 헬레네를 다시 만나게 된 나는 소년 시절 남몰래 사랑했던 그녀에게 여전히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데……. |
헤세의 작품 세계를 대표하는
중단편 걸작 모음 『요양객』, 『데미안』, 『황야의 이리』 등 헤르만 헤세의 주요 작품을 꾸준히 선보여 온 을유세계문학전집에서 헤세 문학의 정수를 보여 주는 대표 중단편을 꾸려 『청춘은 아름다워』로 펴냈다. 표제작 「청춘은 아름다워」와 함께 실린 「대리석 공장」, 「라틴어 학교 학생」, 「회오리바람」은 젊은 시절에 겪는 사랑의 아픔과 좌절을 이야기하는 작품으로, 헤세 문학 초기의 특징인 서정적이며 전원적인 작풍을 엿볼 수 있다. 「시인」과 「유왕」은 국내에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단편으로, 인도에서 선교사로 일했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동양 문화에 노출되어 온 헤세가 각각 중국의 시인과 왕을 주인공으로 하여 지은 작품이다. 본 선집에서 가장 긴 분량을 차지하는 「클라인과 바그너」는 작품이 지닌 가치에 비해 대중적인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소설이다. 이 작품은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 『싯다르타』 등과 한데 묶여 9년 후 『내면으로 가는 길』이란 제목으로 발간되었다. 이중에서 「클라인과 바그너」는 인간의 내면을 파고드는 헤세의 중기 작품 가운데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가장 처음 만나는 「나의 젊은 시절 이야기」는 헤세의 성장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전적 성격의 글로, 헤세 작품들의 탄생 배경을 엿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일례로 그는 이 글에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자신의 문제성이 크게 부각되었고 여론과 갈등을 빚으며 곧장 전쟁 반대자가 되었다고 쓴다. 이번 선집에 실린 「유럽인」의 탄생 배경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헤세는 유럽인의 완벽한 기술, 불손함과 탐욕, 지적이고 산업적인 측면에서의 오만을 전쟁의 원인으로 지목하며, ‘노아의 방주’라는 소재를 차용한 이 짧은 글에서 유럽인을 향한 비판과 혐오의 감정을 숨기지 않는다. 전쟁 중 공표하기에 너무 위험이 따랐던 이 작품은 결국 『데미안』처럼 ‘에밀 싱클레어’라는 가명으로 발표된 글이기도 하다. 청춘 시절의 고뇌와 인간 내면의 탐구를 두루 접할 수 있는 작품집 표제작 「청춘은 아름다워」는 헤세의 단편 소설 가운데 가장 많이 알려져 있고 꾸준히 번역된 작품이다. 이 소설은 오랫동안 객지를 전전하며 헤매다가 마침내 그럴듯한 자리를 잡고서 오랜만에 다시 고향을 찾는 청년의 이야기로, 젊은 날의 고뇌와 사랑의 열병이 헤세만의 섬세하고 분위기 있는 언어로 표현된다. 주인공은 익숙했던 거리와 사람들에게서 어린 시절의 추억과 안정감을 떠올린다. 하지만 실제로 이 글이 발표된 1916년은 헤세가 아버지의 죽음, 결혼 생활의 파탄, 아내의 정신 질환, 막내아들의 질병 등을 겪은 해로, 소설 속 상황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시점이었다. 당시 헤세 자신도 요양소에서 칼 구스타프 융의 제자인 랑 박사로부터 정신 분석 치료를 받고 있었다. 이때의 경험은 그에게 무의식이라는 혼란스러운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해 주었고, 이를 계기로 헤세는 서정적이며 향토적인 작품을 쓰는 작가에서 인간을 탐구하는 작가로 새롭게 태어났다. 중편 「클라인과 바그너」는 변모한 헤세의 작품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소설로, 인간의 혼란스러운 내면을 철저히 들여다보는 것이 특징이다. 작품 줄거리는 간단하다. 관리인 클라인은 공금을 횡령하고 결혼 생활에도 환멸을 느껴 남쪽 나라로 도망친다. 거기서 한 여자를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또다시 환멸을 느껴 결국 강물에 뛰어든다는 내용이다. 헤세의 다른 많은 소설처럼 여기에도 작가의 자전적 경험이 녹아 있다. 결혼한 직후 헤세는 가정을 돌보는 일을 소홀히 하고 도망치듯 여러 나라로 여행을 떠났다. 주인공 클라인 역시 낯선 나라에서 속수무책으로 고독하게 앉아 운명에 시달리며 두려움에 떤다. 사랑에서 구원을 찾을 수 있다 생각하지만 거듭 그가 자신의 내부에서 발견하는 것은 혼란과 분열뿐이다. 주인공이 끊임없이 스스로를 물아붙이며 자기 자신의 무의식을 파헤치고 들여다보는 이 소설은 헤세의 많은 자전적 작품 가운데서도 가장 무자비한 작품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본 선집에 실린 중단편은 각기 다른 시기에 쓰였지만, 기본적으로 헤세 작품의 주요 주제라 할 수 있는 ‘운명애’를 찾아볼 수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각자에게 주어진 운명을 철저히 생활하고 긍정하는 것, 즉 ‘자기실현’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헤세 작품의 두 축이라 할 수 있는 청춘 시절의 고뇌와 인간 내면의 탐구를 두루 접할 수 있는 이번 모음집은, 작가 자신이 젊은 시절의 일대기를 직접 정리한 글과 함께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헤세의 생애와 그의 문학 세계를 골고루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위대한 작가다. 복잡하고 섬세하며 암시적이다.” -뉴욕 타임스 “헤르만 헤세는 삶의 스승이다.” -디 벨트 |
“헤세는 우리 세기 ‘투명한 정신’을 가진 사람 중 한 명이다.” - 랠프 프리드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