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5년 03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297쪽 | 438g | 153*224*20mm |
ISBN13 | 9788932027265 |
ISBN10 | 8932027269 |
출간일 | 2015년 03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297쪽 | 438g | 153*224*20mm |
ISBN13 | 9788932027265 |
ISBN10 | 8932027269 |
사람, 장소, 환대라는 세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를 다시 정의한다! ‘사회적 성원권’ ‘환대’ 등의 문제를 오랜 기간 연구해온 인류학자 김현경의 첫 저서 『사람, 장소, 환대』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우리는 어떻게 이 세상에 들어오고, 사람이 되는가? 우리는 사람이기 때문에 이 세상에 받아들여진 것인가 아니면 이 세상에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사람이 된 것인가? 다시 말해 ‘사람’이라는 것은 지위인가 아니면 조건인가? 조건부의 환대 역시 환대라고 할 수 있을까? 우리에게 주어진 환대가 언제라도 철회될 수 있다면, 우리는 진정한 의미에서 환대되지 않은 게 아닐까? 이 책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며, 사회를 ‘시계’(즉 기능을 가진 구조들의 총체)나 ‘벌집’(재생산적 실천을 하는 주체들에 의해 재생산되는 구조)에 비유하는 구조기능주의에서 벗어나, 사람, 장소, 환대라는 세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를 다시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
프롤로그 그림자를 판 사나이 1장 사람의 개념 태아 노예 군인 사형수 2장 성원권과 인정투쟁 주인과 노예 외국인의 문제 오염의 메타포 3장 사람의 연기/수행 가면과 얼굴 명예와 존엄 4장 모욕의 의미 인격에 대한 의례 배제와 낙인 신분과 모욕 사회의 발견 “사람이 되어라” 굴욕에 대하여 5장 우정의 조건 순수한 우정과 순수한 선물 가부장제를 보완하는 국가 증여와 환대 공동체에 대한 두 개의 상상 6장 절대적 환대 신원을 묻지 않는 환대 보답을 요구하지 않는 환대 복수하지 않는 환대 7장 신성한 것 죽은 자의 자리 서바이벌 로터리 부록 장소에 대한 두 개의 메모 장소/자리의 의미 여성과 장소/자리 감사의 말 |
https://blog.naver.com/exbris/222822684591
나와 함께 우리가 산다는 것
제주도는 눈부시게 아름다운 풍광과 비참한 질곡의 역사를 모순적으로 품고 있는 공간입니다. 여기서 푸릉 마을 사람들이 삶을 살아내기 위해 선택한 방식이 ‘一心’이지 않았을까 짐작해 봅니다. 작가 노희경은 과거의 앙금이 짙게 드리운 이 시공간을 드려다 보며 개인과 공동체 사이에서 갈팡질팡했던 것은 아닐까요? 그렇게 보자면 산포는 도리어 각박한 도시의 생존경쟁으로부터 주인공들에게 휴식을 제공해 주는 안전한 공간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산포에서는 각자의 뚜렷한 개성이 있는 그대로 존중되고 제약없이 발휘되니까요.
신원을 묻지 않는, 보답을 바라지 않는, 복수하지 않는 환대, 사회를 만드는 것은 이런 의미에서의 절대적 환대이다. 누군가는 우리가 한번도 그런 사회에서 살아본 적이 없다고 말할지 모른다. 하지만 사회운동의 현재 속에 그런 사회는 언제나 이미 도래해 있다. p.242
인류학자 김현경은 《사람, 장소 환대》를 통해 이미 우리는 염제호와 곽혜숙이 그랬듯이 신원을 묻지 않고 보답을 바라지 않고 복수하지 않는 환대를 실천하며 사회를 축조해 왔다고 강조합니다. 어쩌면 이 깨달음을 향한 도정이 ‘나의 해방’에 이르는 길이 아닐까요? 염미정의 해방 클럽은 회원 각자의 “자리를 인정하고 편안하게 ‘사람’을 연기할 수 있도록” 서로 도왔을 뿐입니다.
해방되고자 했고 해방된 것은 결국 억지로 우리가 되라는 외부의 강요와 우리가 되어야 한다는 스스로의 강박일 것입니다. 해방클럽의 면모를 보면 억지로 우리가 되는 것보다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닌 것 같습니다. 한뼘 정도 되는 각자의 “영토에 울타리를 둘러주는 것”, 그것만으로 나는 우리 안에서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으며 내 얼굴의 신성함을 회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나는 어렸을 때 매우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는데 (지금은 아님), 거의 세뇌될 정도로 성경을 읽고 배우며 자랐다. 교회를 멀리한 지 20년이 훌쩍 지났는데도 몇몇 찬송가와 성경 속 우화는 토씨 하나 빼지 않고 외울 정도다. 성경에서 예수는 '사랑'의 율법을 설교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말씀으로 "누구든지 네 오른 편 뺨을 치거든 왼 편도 돌려 대라"고 했다. 그다음 구절도 이렇게 이어진다. "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또 누구든지 너를 억지로 오 리를 가게 하거든 그 사람과 십 리를 동행하고 네게 구하는 자에게 주며 네게 꾸고자 하는 자에게 거절하지 말라"
선하고 마음이 한없이 넓은 인격자라고 해도 이유 없이 오른뺨을 맞고서 더 때려달라고 왼 볼까지 내미는 사람은 없을 거다. 당신이 하나를 원하는데 나는 둘을 줄 준비가 되어있고 그 이상의 요구에도 협력할 수 있다는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상대방과의 화해와 협력을 도모하는 전략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왼 뺨을 내밀어도 상대방은 손을 거두고 악수를 청하리라는 것을 미리 내다보는 것이다. 강대강으로 부딪혀서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상처만 입는 것보다는 내가 먼저 양보하더라도 협력을 통해 이익을 얻는 것이 훨씬 더 생존에 유리한 전략이니까.
일종의 환대의 마음이라고나 할까? '환대'란 사전적으로는 '반갑게 맞아 정성껏 후하게 대접함'이라는 뜻이다. 나는 모든 이에게 차별 없이 환대하는 사회가 우리가 꿈꾸는 사회라고 생각한다. 특히, 이 책 <사람, 장소, 환대>를 읽고 그렇게 생각하게 됐다. 환대의 태도에는 사람의 성별, 국적, 출신, 능력과는 상관없이 '나는 당신과 잘 지내고 싶소. 나는 당신과 내가 좋은 친구로 우정을 쌓아 발전하기를 바라오. 당신이 원한다면 내 것을 조금 양보하더라도 당신의 성장을 위해 돕겠소'라는 정신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환대를 통해 우리 모두는 더 나은 단계로 올라설 수 있다.
나는 차별 없는 환대를 열렬히 지지하지만, 무조건적인 (절대적) 환대에는 반대한다. 오른뺨을 맞고 나서 왼뺨을 내밀었는데, 그 왼뺨마저 때리려는 자에게서는 환대를 거둬들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그런 자들에게는 예수의 '사랑'의 율법을 베풀 것이 아니라 '이에는 이, 눈에는 눈'으로 갚는 모세의 율법을 적용해야 한다. 그것은 비단 상대방의 잘못된 선택에 대한 징벌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주변에 관계를 맺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서로 협력하고 양보하는 선의만이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신호를 준다. 게임이론에서 일종의 팃포탯(tit-for-tat)전략이 환대에도 해당된다는 말이다.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내가 지지한 후보가 당선되지 못해 상심이 컸다. 기울어진 언론 지형, 정보의 왜곡, 일부 정치세력이 부추긴 혐오 정서로 인한 감정적인 투표도 한몫했다고 본다. 무엇보다 나는 우리 민주세력의 전략이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힘들게 투쟁해서 이뤄낸 민주화의 성과에 무임승차하는 자들에게 무조건적 환대는 잘못된 신호를 준다. 그들의 행위에 용기를 준다. 비뚤어진 욕망, 부패한 기득권, 거짓과 왜곡을 일삼는 세력에게는 강력하게 보복함으로써 배신에는 반드시 응징이 뒤따른다는 신호를 주어야 한다. 선의가 통하지 않는 자들에게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되갚는 전략이 최선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