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27,800
5 26,410
YES포인트?
830원 (3%)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 [POD] 주문 제작 도서로 주문취소 및 변심 반품이 불가하며, 발송까지 3일 정도 소요됩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관련 상품

박영희 평론선집 (큰글씨책)
[도서] 박영희 평론선집 (큰글씨책)
박영희 저/허혜정 편 지식을만드는지식(지만지)
34,000
박영희 평론선집 (큰글씨책)

이 상품의 시리즈 100

뷰타입 변경

책소개

목차

朝鮮을 지내가는 ?너스
文藝運動의 目的意識論
雜誌 編輯者가 본 朝鮮 文壇 側面史
文學과 苦惱의 饗宴
朝鮮語와 朝鮮文學
標準語와 文學
文學上 功利的 價値 如何
文壇 時評: 文壇을 너머선 文藝
≪朝鮮文壇≫ ‘合評會’에 對한 所感
作家와 批評家의 辯: 評家側
學生과 文學
文學 硏究의 素材에 關한 再吟味(一)
創作 方法과 作家의 視野
쳬호 戱曲에 나타난 露西亞 幻滅期의 苦痛
<惡의 花>를 심은=뽀드레르論
文學上으로 본 李光洙
苦憫文學의 必然性
新傾向派의 文學과 그 文壇的 地位
最近 文藝理論의 新展開와 그 傾向

해설
박영희는
엮은이 허혜정은

저자 소개2

박영희

 

朴英熙, 회월

호는 懷月, 창씨명은 芳村香道. 1901년 서울 출생, 배재고보를 거쳐 도쿄 세이소쿠[正則(정칙)]영어학교 수업을 받았다. 초기에 '백조'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탐미주의적인 시를 발표했으나, 1923년 김기진과 함께 파스큘라를 결성하고 1924년 [개벽]에 입사한 뒤로는 프로문학으로 전향했다. 1925년 카프를 창립하며 지도적인 위치를 맡아 소설과 평론을 주로 발표했다. 같은 해 [개벽]에 발표한 평론 「신경향파의 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는 무산계급문학의 필요성과 역사성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여 경향문학의 형성과 발전에 초석을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1926년 김기진과 [내용ㆍ형식 논
호는 懷月, 창씨명은 芳村香道. 1901년 서울 출생, 배재고보를 거쳐 도쿄 세이소쿠[正則(정칙)]영어학교 수업을 받았다. 초기에 '백조'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탐미주의적인 시를 발표했으나, 1923년 김기진과 함께 파스큘라를 결성하고 1924년 [개벽]에 입사한 뒤로는 프로문학으로 전향했다. 1925년 카프를 창립하며 지도적인 위치를 맡아 소설과 평론을 주로 발표했다. 같은 해 [개벽]에 발표한 평론 「신경향파의 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는 무산계급문학의 필요성과 역사성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여 경향문학의 형성과 발전에 초석을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1926년 김기진과 [내용ㆍ형식 논쟁]을 벌인 뒤 카프의 주도권을 쥐었으나 곧 임화 등 뜻을 달리 하는 젊은 카프 작가들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이로 인해 카프 활동에 회의를 품게 되어 1933년 카프를 탈퇴하고 1934년 [동아일보]에 사설 「최근 문예이론의 신전개와 그 경향」을 발표하며 “얻은 것은 이데올로기요 잃은 것은 예술”이라는 말을 남기고 카프 탈퇴를 공개 선언했다. 그 후 친일 행보를 보였으며 한국전쟁 발발 뒤 조선인민군에게 체포된 것으로 종적을 감추었다. 저서에 『회월시초』 『문학의 이론과 실제』 단편소설 『사냥개』 『전투』 등이 있다.

박영희의 다른 상품

허혜정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하고 현재 한국싸이버대학교 문예창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7년 <한국문학> 신인작품상을 받으며 시로, 1995년 <현대시>에 평론으로 등단하였다. 199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평론이 당선된 바 있으며, 계간 <시와 사상> <서정시학>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 『비 속에도 나비가 오나』, 학술서 『혁신과 근원의 자리』 『현대시론』1,2권 『멀티미디어 시대의 시창작』 『에로틱 아우라』 『처용가와 현대의 문화산업』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허혜정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15년 07월 06일
쪽수, 무게, 크기
360쪽 | 128*188*30mm
ISBN13
9791130457642

책 속으로

≪開闢≫을 標準 하고 말한다면 十五年이나 發展해 온 今日에 雜誌界가 아주 말 아닌 것을 보게 될 때 亦是 그때가 雜誌 ≪開闢≫의 黃金時代이였든 것이다. 定價 每 冊 五拾錢이고 特別號가 七拾錢이었는대 八千餘 部가 發行 旬日에 賣盡하는 形便이였으니 이것은 어느 便으로 본다면 敎會 關係가 크다고 볼 수 있으나 그것뿐만도 아니라 地方에를 巡廻해 보면 新聞 支局이나 書店치고 ≪開闢≫誌 없는 데가 없고 또는 내 目睹한 바이지마는 靑年들치고 外出할 때면 의레히 短杖 들듯이 이 ≪開闢≫을 옆에 끼고 다니였다. 그만큼 이 雜誌는 時代的 寵兒 노릇을 하였든 것이다. 그때의 版局으로 말하면 거리거리 동네동네의 各樣의 團體의 看板이 붙어 있었고 누가 言行이 不美한 點이 조금만 있어도 會 뫃은흔다 代表를 뽑는다 하고 야단법석을 하던 판이었는데 그 틈에서도 ≪開闢≫은 할 수 있는 대로 公正한 立場을 직히여 왔으며 오히려 그 옳다고 생각하는 便에 率先 加擔해서 輿論을 이리키였다.
또한 그때의 新聞은 그들을 當할 出版物이 없으매 때때로 專橫하는 일이 많었는데 이것을 民衆을 代表해서 敢히 反駁을 試한 것도 ≪開闢≫誌이었든 까닭에 젊은 사람들의 唯一한 伴侶가 되였든 것도 까닭 없는 일이 아니었다.
또한 文藝 方面에서도 長久한 歷史를 가진 雜誌인 만큼 그 功積이 컸으며 지금 一家를 成한 大家들의 搖籃이였든 것이다. 그들은 이곳에서 成長하였다, 구 해도 過言은 아니겠다. 雜誌 ≪靑春≫을 이여서 朝鮮 文學 運動에 功獻을 等閑이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雜誌 編輯者가 본 朝鮮 文壇 側面史」중에서

출판사 리뷰

‘한국평론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평론을 대표하는 주요 평론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박영희(朴英熙, 1901∼?)가 문학 활동을 시작한 1920년대는 근대의 충격에 가장 격렬하게 맞부딪친, 조선 문학의 세련화의 분기점이기도 하다. 박영희가 “조선의 문단에 온 詩의 黃金時代”이며 ‘詩의 世紀’라고 규정하고 있는 1920년대를 정점으로, 박영희는 대단히 빼어난 시와 소설, 평론 등을 다수 발표했다. 문학사적으로 박영희는 우리나라 낭만주의 제1세대라 할 수 있는 동인지 중심 시 운동의 연장 선상에 있다. 박영희는 우리나라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1921)의 핵심 동인으로서 문학 활동을 시작한다. ≪장미촌≫은 비록 2호로 단명, 폐간되기는 했으나, 낭만주의라는 특정한 목표를 명백히 주장하고 나선 최초의 시 전문지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1922년에 낭만주의를 표방하고 간행된 동인지 ≪백조≫는 그 동인의 대부분이 ≪장미촌≫의 동인들이었는데 그들은 우리 현대시사의 낭만주의를 더욱 의식적으로 치밀하게 추구하며, 1920년대 조선 문단에서 전위시 그룹으로서 정체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백조≫ 동인들 중에서도 박영희, 홍사용, 박종화, 이상화는 ≪백조≫ 3호까지 작품 발표를 거르지 않았던 핵심 동인이었는데, 특히 박영희는 여느 동인과 달리 이론에 가장 강한 동인이었다는 점에서 주의를 끈다. ≪백조≫ 동인들은 창작에만 주력한 것이 아니라, 사상지로 ≪흑조≫를 병행 발간하여 문예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일련의 작업들을 병행했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 대단히 조직적인 문학 운동을 펼쳤다. 이 책 박영희의 1920년대 평론에 초점을 맞추면서, 거기서 엿보이는 낭만주의적 색채와 프로문학으로의 사상적 전환의 의미를 논의했다.
선택한 상품
26,410
1 26,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