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 새로운 도전 앞의 모빌리티: 존재론과 가치론_김태희
1부 모빌리티의 존재 모빌리티 존재론-인식론-가치론을 꿰는 실, 키네스테시스_김태희 키네스테시스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지각의 조건으로서의 키네스테시스 키네스테시스 개념의 의미와 확장 역사학적 범주로서의 공간: 역사성과 공간성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탐구_전진성 역사학의 새로운 출발점 역사성과 공간성의 대립 역사학과 공간의 만남 전망 공간적 사고에서 시간적 사고로의 전환: 왕양명과 베르그송의 사상을 중심으로_양선진 논리학이 지배적인 학學이다 베르그송: 논리적 사고에서 시간적 사고로의 전환 왕양명: 사변적 리 중심 사고에서 구체적 리 중심 사고로의 전환 논리학에서 생물학적 사고로의 전환 2부 모빌리티의 윤리 떠도는 자들을 위한 장소_한길석 장소와 존재 액체근대의 그늘 탈구의 정치 공적 장소의 회복 맑스의 국제주의와 환대의 정치-윤리_한상원 근대적 세계시장의 창출: 지구적인 교류 형식의 확산과 연대의 조건 코뮌주의와 환대의 정신: 맑스의 중세 코뮌 연구 국제주의와 환대의 권리: 칸트와 맑스 국제노동자협회에서 맑스의 실천들 오늘날 국제주의적 환대의 의미 모빌리티 시대, 정동적 변화와 윤리적 존재화: 순자철학을 중심으로_윤태양 정동과 ‘정동’을 둘러싼 토론 순자 성악설의 논리 구조 정동적 변화와 윤리적 존재화 3부 모빌리티의 정의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 개념의 기초적 고찰_임미원 아렌트의 인권 개념 형성의 배경 ‘권리를 가질 권리’의 개념 아렌트의 인권 구상의 난제들 벤야민, 지젝, 아감벤의 폭력 개념과 세계화 시대의 인정투쟁_문성훈 벤야민의 폭력 개념: 법 보존적, 법 정립적, 신적 폭력 지젝과 아감벤의 벤야민 해석 칸트의 세계시민사회 이념과 세계화 시대의 인정투쟁 모빌리티의 정동과 문화의 자리: 떠남과 만남, 그리고 정중동靜中動_최성희 들어가며 챈들러의 눈물 정동의 모빌리티, 모빌리티의 정동 ‘내지여행’과 정동 모빌리티 정의正義의 문제 그리고 문화의 자리, 인문의 자리-정중동靜中動 |
김태희의 다른 상품
전진성의 다른 상품
한길석의 다른 상품
한상원의 다른 상품
윤태양의 다른 상품
文聖薰
문성훈의 다른 상품
최성희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