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신유물론×페미니즘
몸, 물질, 생명
베스트
여성/젠더 top20 4주
가격
16,000
16,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여이연이론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서문

1부 젠더에서 성(차)로: 신유물론의 지도 그리기

신유물론(들)과 페미니즘, 그리고 버틀러 비판 / 김남이
신유물론의 렌즈로 읽는 그로스의 육체유물론: 사회구성주의와 생물학적 결정론을 넘어서는 ‘몸’을 향하여 / 이현재

2부 새로운 질문들: 물질과 과학기술

몸과 함께 작동하는 연구: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의 접점에서 / 임소연
세계의 파괴자 오펜하이머가 바비와 얽힌 끝에 바벤하이머가 되기까지: 버라드의 물질 이론과 영화 〈오펜하이머〉로 본 물리학과 여성주의 / 이지선

3부 몸: 재생산과 섹슈얼리티의 지대

여성의 자기향유와 빈 공간의 창조성: 신유물론으로 사유하는 여성의 재/생산 / 박신현
새로운 물질로서 몸과 페미니즘 / 심귀연

4부 생명과 죽음, 그리고 얽힘의 실제들

소녀, 농약, 좀비 / 박이은실
생태 안에서 분해되기: 발 플럼우드의 먹이와 묘지 이야기 / 김지은

저자 소개8

서울대에서 미학을 공부하고, 대학과 대중강연에서 미학, 철학, 사회학을 강의한다.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정신분석 세미나에서 선배, 동료들과 성, 섹슈얼리티, 페미니즘에 관한 책을 읽고 쓴다. 저서로 『페미니스트 정신분석이론가들』(공저, 여이연, 2016), 역서로 『엘렌 식수』(책세상, 2023), 『왓 이즈 섹스?―성과 충동의 존재론, 그리고 무의식』(여이연, 2021) 등이 있다.

김남이 의 다른 상품

사회/여성철학 전공자로서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신유물론과 페미니즘의 관점을 접목시켜 몸, 도시, 공간의 물질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작업, 포스트휴먼 페미니즘과 돌봄전환을 연결시키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최근에는 『포스트휴먼 페미니즘』(후마니타스, 2024)를 공역하였다. 그밖의 저서로 『여성혐오, 그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공저로는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 등이 있다. 공역서로 에드워드 소자, 『포스트메트로폴리스 2』, 낸시 프레이저 외,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등이 있다.

이현재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문학 석사 학위와 영어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과 신유물론을 바탕으로 버지니아 울프의 문학작품을 분석한 논문 <행위적 실재론으로 본 울프의 포스트휴머니즘 미학>(2020), <버지니아 울프 소설에 구현된 기술미학과 환경미학>(2020), <회절과 얽힘의 텔레커뮤니케이션>(2021), <캐런 바라드의 육체의 윤리와 정치: 자기?만짐과 다가올?정의>(2022)를 발표한 바 있다. 단독 저서로 ≪공유, 관계적 존재의 사랑 방식≫(2021), 공저로
서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비교문학 석사 학위와 영어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과 신유물론을 바탕으로 버지니아 울프의 문학작품을 분석한 논문 <행위적 실재론으로 본 울프의 포스트휴머니즘 미학>(2020), <버지니아 울프 소설에 구현된 기술미학과 환경미학>(2020), <회절과 얽힘의 텔레커뮤니케이션>(2021), <캐런 바라드의 육체의 윤리와 정치: 자기?만짐과 다가올?정의>(2022)를 발표한 바 있다. 단독 저서로 ≪공유, 관계적 존재의 사랑 방식≫(2021), 공저로 ≪신유물론: 몸과 물질의 행위성≫(2022)과 ≪생태, 몸, 예술≫(2020)이 있고, ≪강철혁명≫(2011) 등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박신현의 다른 상품

경상국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이코스 인문연구소 공동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철학(현상학)을 전공하였으며, 경상국립대학교에서 “메를로?퐁티의 자유개념”(2011)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 “세계와 깊이 : 메를로?퐁티와 세잔의 회화를 중심으로”로 새한학술상(19회)을 받았다. 메를로퐁티의 이론에 근거해 생태, 여성의 문제를 비판적 포스트휴먼과 신유물론의 입장으로 확장 연구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 『신체와 자유』(2012), 『철학의 문』(2014), 『몸과 살의 철학자 메를로?퐁티』(2019), 『취향: 만들어진 끌림』(2021), 『내 머리맡
경상국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이코스 인문연구소 공동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철학(현상학)을 전공하였으며, 경상국립대학교에서 “메를로?퐁티의 자유개념”(2011)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 “세계와 깊이 : 메를로?퐁티와 세잔의 회화를 중심으로”로 새한학술상(19회)을 받았다. 메를로퐁티의 이론에 근거해 생태, 여성의 문제를 비판적 포스트휴먼과 신유물론의 입장으로 확장 연구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 『신체와 자유』(2012), 『철학의 문』(2014), 『몸과 살의 철학자 메를로?퐁티』(2019), 『취향: 만들어진 끌림』(2021), 『내 머리맡의 사유』(2022), 『모리스 메를로퐁티』(2023), 『이 책은 신유물론이다』(2024)가 있다. 공저로 『지구에는 포스트휴먼이 산다』(2017), 『몸의 미래, 미래의 몸』(2018), 『여성과 몸』(2019), 『포스트 바디?레고인간이 온다』(2019), 『키워드로 보는 청소년인문학』(2019), 『인류세와 에코바디』(2019), 『인공지능이 사회를 만나면』(2020), 『신유물론?페미니즘』(2023), 『서양의 생태철학』(공편저, 2023), 『우리에겐 더 많은 돌봄이 필요하다』(2024) 등이 있다. 논문으로 “생태공동체 모델 구축을 위한 인간, 자연, 기술 개념 연구”(2020) 등 수십 편이 있다.

심귀연의 다른 상품

박이은실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에서 문화연구 이론과 페미니즘 이론을 공부하며 여성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몸, 성, 사랑, 소득과 주체성 등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월경의 정치학』, 『양성애: 열두 개의 퀴어 이야기』를 썼고 『퀴어 이론 입문』을 포함해 몇 권의 책을 한국어로 옮겼다. 주요 논문으로 「성춘향, 신여성, 피켓을 든 소녀」, 「패권적 남성성의 역사」 등이 있다. 현재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운영위원, <여/성이론>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아주 작은 페미니즘학교 탱자' 전담교수로 있으면서 여러 훌륭한 행동파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있다.

박이은실의 다른 상품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 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강사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신유물론 × 페미니즘』(공저), 『도래할 유토피아들』(공저), 『우리는 어떻게 사랑에 빠지는가』(공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식물의 사유』(공역), 『악어의 눈』, 『영화와 문화냉전』 등이 있다.

김지은의 다른 상품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조교수. 과학기술학을 전공했으며 주요 연구 주제는 과학 기술과 젠더, 인간 향상과 몸, 신유물론 페미니즘 등이다. Asian Women, Ethnic and Racial Studies, Medical Anthropology,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ocial Studies of Science 등에 단독 및 공저 논문을 발표했고 주요 저서로는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2022),『나는 어떻게 성형미인이 되었나』, 『겸손한 목격자들』(2021, 공저), 『과학기술의 시대 사이보그로 살아가기』(2014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조교수. 과학기술학을 전공했으며 주요 연구 주제는 과학 기술과 젠더, 인간 향상과 몸, 신유물론 페미니즘 등이다. Asian Women, Ethnic and Racial Studies, Medical Anthropology,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ocial Studies of Science 등에 단독 및 공저 논문을 발표했고 주요 저서로는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2022),『나는 어떻게 성형미인이 되었나』, 『겸손한 목격자들』(2021, 공저), 『과학기술의 시대 사이보그로 살아가기』(2014)가, 역서로는 『바디 멀티플』(공역, 2022)이 있다.

임소연의 다른 상품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프랑스 근현대 철학, 과학 철학, 과학사를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기술 철학 및 기술사나 포스트휴머니즘, 신유물론, 생태 정치학 등으로 관심을 넓혀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초연결의 철학』(공저, 2021), 『공존의 기술』(공저, 2007)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무한 우주에서 닫힌 세계 혹은 갇힌 지상으로: 라투르의 정치생태학과 우주주의적 지구론」(2021), 「1922년 파리, 베르그손-아인슈타인 논쟁」(2021)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철학적 포스트휴머니즘』(2021), 『아나키즘의 역사』(공역, 2003) 등이 있다.

이지선 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12월 21일
쪽수, 무게, 크기
238쪽 | 148*210*20mm
ISBN13
9788991729483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6,000
1 1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