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PIN 007 김행숙 시집 『1914년』
1914년 4월 16일 / 그러나 / 작은 집 / 1984년이라는 미래 / 지하철 여행자 2084 / 초혼招魂 / 생각하는 사람 / 랜드마크 / 검은 항아리 / 소금 인간 / 생전의 느낌 / 다른 전망대 / 통일전망대 2015 / 무의식을 지켜라 / 이것이 나의 저녁이라면 / 해피 뉴 이어 / 해 질 녘 벌판에서 / 폐가의 뜰 / 요람의 시간 / 우리에겐 시간이 조금 / 이웃집의 완벽한 벽장식 / 대방동 조흥은행과 주택은행 사이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 / 십이月삼십일日 / 소녀의 꿈 / 1914년 / 잠들지 않는 귀 에세이 : 시간의 미로 PIN 008 오 은 시집 『왼손은 마음이 아파』 첫 문장 / 그러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 봄밤비 / 생각 / 벽돌 / 반지하 / 아리랑의 마음들 / 이동 / 바늘 상점 / O와 o / 애 / 패러다임 / 안다 / 칼로리 / 대체적으로 / 표리부동 / 사진의 다음 표정 / 이사 / 화이트아웃 / 음악 / 옛날 시 / 암시 / 움큼 / 경제 / 모자이크 / 나무의 일 / 100% / 그날의 전날 / 메리와 해피와 / 생일 에세이 : 생의 리듬 PIN 009 임승유 시집 『그 밖의 어떤 것』 표현 / 산소 / 물건 / 조용하고 안전한 나만의 세계 / 미래가 무섭다 / 사라지는 자연 / 긴 여름과 가을 / 네가 이야기를 마치고 나간 후 / 잡고 싶은 마음 /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서 출발 / 없는 생활 / 숨겨둔 기쁨 / 너무나 가까이 너무나 오래 / 상수 / 각자의 특징으로 / 프릴 폴라 / 그 밖의 어떤 것 / 그곳 / 새로운 현실 / 사무실 / 공공장소 / 타월 / 고전소설 / 건물 에세이 : 뼈만 남았다 PIN 010 이 원 시집 『나는 나의 다정한 얼룩말』 나는 어쩌다 쫓기는 사람이 되었나 / 나는 어쩌다 쫓는 사람이 되었나 / 손은 앞발로 돌아가려 한다 / 테니스를 칩시다 / 뉘앙스 / 얼룩말은 불행하다는 관점 / 진술 / 거의 눈이 올 날씨 / 얼룩말 지우개 / 얼룩말 지우개에 덧붙임 / 벽에 대고 / 잊을 만하면 어머니 목소리 / 나는 나의 다정한 얼룩말 / 생존 배낭 / 지우개를 만드는 가내수공업자와 얼룩말 / 시약장 / 어머니 전화 / 20F/B9 / 리벌스 영웅 / 사라진 다음에 남겨지는 사람 에세이 : 빨강과 입술, 어긋나면 연주 PIN 011 강성은 시집 『별일 없습니다 이따금 눈이 내리고요』 소설小雪 / 첫아이 / 손님 / 객차 / 금 / Lo-fi / 끝없이 이어지는 길 / 재난 방송 / 어떤 나라 / Lo-fi / 폴라 나이트polar night / 녹음綠陰 / 제사 / 상속자 / 미래의 책 / 천천히 더 천천히 / 아파트 / 향이 / 말년의 양식 / 겨울이 온다 에세이 : 눈 속에 안개가 가득해서 PIN 012 김기택 시집 『울음소리만 놔두고 개는 어디로 갔나』 화살 / 야생 / 신선횟집 / 개는 어디에 있나 / 왜 그러나 했더니 / 사람 냄새가 난다 / 냄새의 발원지 / 오늘도 걷는다마는 / 쪼그리고 앉아서 / 노크 / 유기견 / 환풍기 / 어제보다 오늘 나는 조금 더 시체이다 / 그런 뜻으로 말한 게 아녜요 / 지팡이 / 비둘기집 / 프라이드치킨 / 눈빛이 살갗을 찢는다 / 노크 2 / 기다리래 에세이 : 머리카락 자화상 |
김행숙의 다른 상품
오은의 다른 상품
임승유의 다른 상품
이원의 다른 상품
姜聖恩
강성은의 다른 상품
김기택의 다른 상품
김행숙, 오은, 임승유, 이원, 강성은, 김기택
작가들의 친필 사인이 담긴 한정판 박스 세트 동시 발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의 시인들은 김행숙, 오은, 임승유, 이원, 강성은, 김기택 6인이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박상순, 이장욱, 이기성, 김경후, 유계영, 양안다)을 통해 현재 한국 시의 현주소를 살피고 그 방향성을 짐작해봤다면, 두 번째 컬렉션에서는 시인 하나하나가 그 이름만으로도 명징한 시 세계를 드러내며 저마다 묵직한 개성을 발휘한다. 또한 [현대문학 핀 시리즈] 시인선의 특색 중 하나인 20-30여 편의 시편과 함께 수록되는 시인들의 시론과 경험이 함께 녹아든 공통된 테마의 에세이를 통해 앞서 펼쳐지는 시 세계를 보다 풍부하게 만들고, 소시집을 감상하는 독자들의 상상력을 자유롭게 자극한다. ‘VOL. Ⅰ’ 시인들의 ‘공간’ 에세이에 이어, ‘VOL. Ⅱ’의 시인들은 ‘신체’를 테마로 각각 ‘귀(김행숙)’ ‘손가락(오은)’ ‘뼈(임승유)’ ‘입과 입술(이원)’ ‘눈(강성은)’ ‘머리카락(김기택)’을 그려내는 독특한 작가만의 시선이 응축된 에세이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의 또 다른 읽는 재미를 선사한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는 300질 한정으로 작가 친필 사인본 박스 세트(전 6권)와 낱권 시집(양장)이 동시에 발매되며, 출간에 맞춰 6인 시인의 낭독회 이벤트로 독자들과 만나게 될 예정이다. 특히 한정판 박스 세트의 경우, 지난 2월 첫 출간된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의 한정판과 동일하게 시인들의 친필 사인과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어 독자들에게 더 특별하게 다가갈 것이다. 현대문학 × 아티스트 지니 서(Jinnie Seo) 최근 아트 포트(ART+Airport)를 표방하며 새롭게 개장한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 파사드 아트를 선보이기도 한 지니 서 작가는 드로잉, 페인팅, 건축, 설치미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전 세계를 무대로 작품 활동을 펼치는 국제적인 아티스트이다. “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하고 있어요. 모두 장르가 다르지만 늘 쓰는 언어가 바로 ‘선’이죠”라고 밝힌 바 있는 작가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Ⅱ』의 표지에도 스스로가 ‘작업의 언어’라고 밝힌 ‘선’을 이용한 드로잉 작품들을 채워 넣었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시인선을 통해 최초로 공개되는 지니 서 작가의 「Drawing Journal Series」는 서정적인 아름다움과 역동적인 움직임을 모두 담아낸 작품들로, 평면이자 공간을 실현하는 작가의 예술관을 드러내며 독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준다. * 지니 서 / 1963년 서울 출생. New York University, NY Bachelor of Arts in Biology 및 New York University, NY Master of Fine Arts in Painting 졸업. Skowhegan School of Painting and Sculpture 수학.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아트포트, 뉴스탠포드대학병원 커미션 프로젝트 등 서울, 뉴욕, 싱가포르 등지에서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 공공미술 작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