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큰 바위 얼굴 | 김도연외로울 때면 책을 읽었다 | 고영직I ‘can’ live with or without you | 유이월내 인생에서 책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 강명효12월의 어느 우중충한 아침에 책의 증식에 대한 단상 | 류동현보들레르의 『악의 꽃』 | 윤혜준나의 동반서, 『한어대사전』 | 김영문『옥루몽』에 얽힌 사연 | 김풍기“나는 책 덕후로소이다” | 권성욱레이먼드 챈들러와 나 | 김효정전집과 박스 세트를 소유하라. 인생이 달라질 것이다. | 오동진나는 왜 그토록 책에 매혹되었을까? | 장석주우아한 판타스틱 북월드 | 강창래빌린 책의 흔적들 | 이라영2부책을 지키는 사람 | 강건모책과 함께, 보통의 날들 | 주순진단팥빵 | 현택훈책을 만들던 모든 순간이 골든에이지 | 김경민책을 읽는 사람들 | 조한욱따끔거림, 또는 우리가 서로에게 전해야 할 진실에 관하여 | 홍정인편집자와 번역자 | 정영목세상에 남긴 단 한 권의 책 | 이홍책이 만든 어떤 운명의 표정 | 권성우우리 누가 먼저 내나 내기합시다 | 박지혜여기 없는 사람 | 오경철사전 먹는 사람에서 머리 없는 사람으로 | 故 고원효3부읽기 위해 살다 | 장은수기록 매체의 변천사로 본 책의 역사 | 서미석책과 국기에 대한 단상 | 한성윤책 읽기는 김매기다 | 황규관최초의 조선 여성, 향란을 담다(1886) | 이상엽책, 시간 속으로 흩어질 것을 거두어들이는 힘 | 송기호책, 도(道), 똥, 사변적 감응 | 박준영당신은 무엇을 읽습니까 | 곽경훈시니어 독서에 주목하라 | 김경집나의 책,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 유성호탐서와 열독 그리고 루쉰과 만유 | 노승현나의 서(書) 읽기 | 윤성훈책의 무게 | 박찬휘
|
정영목의 다른 상품
張錫周
장석주의 다른 상품
황규관의 다른 상품
金豊起
김풍기의 다른 상품
柳東賢
류동현의 다른 상품
이상엽의 다른 상품
조한욱의 다른 상품
전 가톨릭대학교 교수
김경집의 다른 상품
강창래의 다른 상품
김도연의 다른 상품
김영문의 다른 상품
윤혜준의 다른 상품
장은수의 다른 상품
LEE Ra-Young
이라영의 다른 상품
권성욱의 다른 상품
현택훈의 다른 상품
서미석의 다른 상품
Kwon, Seong-woo,權晟右
헤르츠티어
강건모의 다른 상품
곽경훈의 다른 상품
한성윤의 다른 상품
홍정인의 다른 상품
김효정 의 다른 상품
박지혜의 다른 상품
송기호의 다른 상품
김경민의 다른 상품
박찬휘의 다른 상품
유이월의 다른 상품
오경철의 다른 상품
강명효의 다른 상품
柳成浩
유성호의 다른 상품
사랑에 밑줄을 긋는 마음으로읽고 쓰고 옮기다어린 시절에 읽거나 힘든 시기에 읽어 중요한, 지금 서가를 가득 채운, 어쩌면 훗날 어딘가에서 읽을지도 모르는 책. 책과 관련한 상념과 이야기가 『판타스틱 북월드』에 담겼다. 빌린 책에 남겨진 흔적을 이야기하는 사람, 그토록 원하던 책을 해외에서 발견한 사람, 문화와 역사가 전혀 다른 누군가의 글을 옮기며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는 사람, 책을 읽다가 문득 하루하루가 지나가는 궤적을 되돌아보는 사람이 있다. 이 책에 참여한 사람들은 모두 책 만드는 일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그러나 상품인 책을 만들기 이전에 그들은 모두 독자다. 이 책은 독서를 즐겨온 사람으로서 책을 만든 사람들의 산문을 실었다. 자연스레 그 글에는 사랑이 담겨 있다. 묽고 진한 정도는 각자 다르지만 그 사랑이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글에서 배어나온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책에 대한 생각이 달라졌거나 앞으로 달라질 수도 있지만 책을 읽는 기억은 어떤 형태로든 그들에게 남았다. 하루에도 수시로 뒤바뀌는 마음을 반영하는 표정처럼 그 기억은 기쁨이면서 슬픔이다. 그들은 그 기억을 간직하며 글을 읽고 쓰고 옮기고 있다.책으로 지어진 세상에서서로를 읽는 사람들이 책에 담긴 산문들은 각자의 기억을 이야기하기에 내밀하고, 타인이 말할 수 없는 것을 직접 말하기에 고유하다. 특별하고 중요한 경험과 생각을 기록한다는 점에서 자전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을 순서대로 읽든 무작위로 읽든 결국 머릿속에서 독특한 세상이 만들어진다. 짧은 글에서 발견할 수 있는 건 삶의 편린이지만 그 조각들이 모인다면 하나의 세계가 될 수 있다. 그 세상은 책으로 만들어졌다. 독서는 고립되거나 자기 내면세계에 몰두하는 행위일 수 있다. 그것은 단점이 아니며 독서의 성격일 뿐이다. 하지만 혼자만의 독서가 때로는 소통 통로가 되기도 한다. 그 길을 누군가는 앞날에 대한 걱정이나 기대감으로 채우고, 누군가는 타인에 대한 기억으로 메우고, 누군가는 순전한 즐거움으로 장식한다. 이 책은 그 알록달록한 소통에 관여하는, 책으로 서로를 읽는 사람들에 주목한다.※ 교유서가는 2014년 3월 문학동네출판그룹의 임프린트로 시작하였습니다. 거리의 역사학자 故 이이화 선생께서 조선 중기의 학자 허균의 호 교산(蛟山)에서 ‘蛟’를,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의 당호 여유당(與猶堂)에서 ‘猶’를 집자하여 브랜드명을 지어주셨습니다. 교유서가는 〈마스터스 오브 로마〉, 〈교유서가 첫단추〉, 〈교유서가 어제의책〉, 〈교유서가 다시, 소설〉 시리즈 등과 문사철(文史哲) 분야의 인문교양도서를 꾸준히 펴내고 있습니다. 2019년 6월에 ‘서로 사귀어 놀며 오가는 집’이라는 뜻의 교유당(交遊堂)이라는 법인으로 전환하였으며, 에세이 및 환경·종교 분야의 ‘싱긋’, 영유아 분야의 ‘꼬마싱긋’, 경영과 자기계발 분야의 ‘아템포’라는 출판브랜드와 함께하고 있습니다.
|